[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영향 요인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20~69세의 북한이탈주민 중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405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특성상 확률표집이 불가능하므로 편의 표집 중 눈덩이 표집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정체성의 개념을 한국의 국민으로서의 소속감으로 규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세 단계로 변수들을 투입하였다. 첫 단계인 Model 1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로서 성별, 연령, 북한학력, 남한학력, 월수입, 결혼여부, 규칙적 종교활동여부를 투입하였고, Model 2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함께 개인 인식변수로서 주관적 건강수준과 남한 영구정착 의향을 투입하였으며 Full Model인...
[학술논문] 탈북 고려인 시 연구 ― 현실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연해주 출신 시인들이 1990년대 이후 활발하게 작품으로 형상화한 ‘강제이주에 대한 체험과 고발’의 경우만 보더라도, 양원식과 박현 등 일부 경우를 제외한다면, 탈북 고려인 시인들의 작품에서는 별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는다. 이들에게는 ‘강제이주’를 자신의 원죄 의식으로 삼아 소비에트 국민으로서의 소속감을 강조해야 할 별다른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대신에 이들의 시에는 경계인으로서 또는 뿌리 뽑힌 자로서의 긴장이 내재하고 있으며, 인간의 근본적인 자유에 대한 갈망과 그 장애물에 대한 저항의식이 전면화되고있다. 또한 그런 가운데 각자가 처한 상황과 현실에 대한 인식 및 대응 태도,세계관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작품 경향을 보여준다. 탈북 고려인 시인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