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당 통일정책 비교
...정부들이 이를 이어받아서 서로주체적 부분통합으로 발전시켰다. 이명박 정부 이후 홀로주체적 자세로 후퇴하고 있지만, 아직 1970년 이전의 홀로주체적 대북자세로 회귀했다고 보기는 이르다. 다음, 현재 활동 중인 주요 정당들의 정강정책과 20대 총선 공약으로 정당 통일정책을 평면적으로 살펴본 결과, 보수계 정당(새누리당)과 민주당계 정당들(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및 군소 진보정당(정의당) 사이에 수렴과 분기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정당이 북한에 대해 대화와 협력에 바탕을 둔 서로주체적 자세를 견지하고 있지만, 서로주체적 자세의 정도에 있어서는 중요한차이가 있다. 새누리당은 북한의 일방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홀로주체적 성격을 상당히 보인다. 정의당은 남북한의 상생을 전제로 하는 점에서 가장 서로주체적인 통합을...
[학술논문] 2016년 국회의원 선거 이후 시민들의 통일의식 변화 : 이념적 양극화인가, 당파적 편향인가?
...보다 편향된 모습을 보인 반면, 대북정책과 정부의 평가에 있어서는 새누리당 지지층의 편향이 두드러졌다. 이와 달리 이념 성향의 영향력은 과거에 비해 눈에 띄게 감소함으로써, 올해 나타난 시민 수준의 양극화는 이념적 차이보다는 당파적 편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국회의 제3당으로 부상한 국민의당은 통일과 대북정책에 있어서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중간적 입장을 띠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국민의당 지지층의 움직임이 당파적 분열의 문제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explores how South Korean citizens’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and North Korean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