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동신문』의 "우리말 다듬기 지상토론" 분석: 1966년부터 1973년까지
...걸쳐 연재된 "우리말 다듬기 지상토론"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북한의 언어정책의 사회 통제적 국면 및 그 중심 사업이었던 '국어순화운동'의 사회 수용적 국면을 표면화시키는 과정을 주안으로 하는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상토론'의 내용에 대해 최종적으로 다듬어진 말이 아니라 토론의 과정을 제시하는 것으로 북한 사회와 그곳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우리말'이라고 느꼈던 말과 그 말에 대한 감각을 끌어내는 토론 과정에 중점을 두었다. 내용 분석으로는 당시 북한에서 발간된 출판물 논문 등을 참조하였고, 북한의 언어 정책과 '국어순화운동'의 연구에서의 '지상토론'에 대한 평가에 중점을 두었다.
[학위논문]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언어 규범을 통일할 수 있는 남북한 범민족 기구를 두어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 기구는 남북한 어문 규범 통일을 위해 수시로 모임을 갖도록 하고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우리말 순화 운동을 범민족적으로 벌여야 한다고 하였는데 남한의 국어 순화 운동이나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하였다. 북한은 이미 1960년대 후반부터 일기 시작한 문화어운동을 계기로 하여 많은 한자어와 외래어를 우리말로 다듬었다고 하였고, 남한도 1970년대부터 정부 차원에서 순화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였다.
셋째, 언어 통일의 지름길은 우리말 교육을 강화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학술논문] 어문 민족주의와 미래 한국어의 정체성
...어문민족주의 운동의 중심에서 어문규범 정비와 사전 편찬의 대업을 이루었다. 그러나 1930년대에는 실용적 학문에 대한 반발로 언어자료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추구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어문민족주의는 분단 후 남북한에서 체제의 차이로 달리 전개되었다. 북한에서는 한글전용정책과 국어순화운동을 정부가 강제하였다. 남한에서는 정부의 한글전용정책에 대해 민간 일부에서 반발하는 양상이 오래 지속되었으나;국어순화운동은 민관 합동으로 전개되었다. 외국인이 인구의 5%를 차지하고 세계화;다문화 시대가 도래하여 어문민족주의는 다언어·다민족사회에 걸맞게 어문국가주의로 승화되어야 한다. 한국언어문화를 위한 7대 정체성의 내용도 재개념화하여야 한다. 탈민족주의;세계화;다문화;국민 통합을 지향하는 국가주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