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권]
...제시하였다. 북한인권 침해 책임규명을 강화화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첫째, 한국 정부는 기존의 북한인권 책임규명을 위한 유엔 인권메커니즘에 있어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며 적극 동참해야 한다. 책임규명과 관련해 한국 정부의 의지가 중요한 만큼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서 결의안 제출, 안건 제안, 투표 권한 등 북한인권을 포함한 한반도 사안에 대한 의견을 개진해 국제사회 여론 환기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책임규명의 첫걸음과도 같은 인권침해 조사‧기록 역량을 강화하고 북한인권기록센터와 북한인권기록보존소 간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국제사회에서의 책임규명 논의 및 활동이 형사소추에서 비형사소추 방식으로 세분화‧전문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정부의 역량 강화 및 전문가 집단 양성이 필요하다. 중기적으로는...
[법/인권]
...한다”고 비판했다.
북한인권 증진에 가장 결정적 계기가 마련된 사건은 유엔의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설립이다.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설립을 위해서는 여러 설득이 필요했다. 인권문제로 북한을 지나치게 압박하면 비핵화 협상에 진전이 없을 것이라는 일부 회원국들의 우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북한인권 침해가 널리 알려지고 비핵화에 아무런 진전이 없자 국제사회의 여론이 돌아섰다. 북한인권조사위원회는 서울, 도쿄, 런던, 워싱턴DC에서 공개 청문회를 열어 약 80명의 탈북민읜 증언을 청취했다. 또한 신분 노출을 꺼리는 탈북민과 약 240건의 비밀 인터뷰를 진행했다.
조사위원회 보고서는 북한을 상당히 압박하는 결과는 낳았다. 보고서 발표 이후 당시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었던 마르주키 다루스만은 북한...
[학술논문] 관료정치와 관료세력의 권력자원 동원: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 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권력자원을 활용하여 관료정치를 진행하는지를 관찰,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통일부는 대화를 지향하는 정책선호를 가지고 있으면서 자신의 선호가 정부의 정책으로 최종 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권력자원 가운데 전문성과 국회, 언론 등을 주로 활용한다. 외교부는 대화와 제재의 병행 전략을 선호하면서 이를 정책화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여론, 국제기구, 다자협의체 등을 동원하고, 때로는주변국의 동향에 대한 정보와 주변국의 영향력도 권력요소로 이용한다. 국방부는북한에 대한 강경정책을 정책선호로 하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군사정보를 바탕으로 한 전문성과 국제기구, 언론 등을 주요 권력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들 관료조직들은 자신의 권력자원을 확충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관료정치...
[학술논문] 서울올림픽 개최 반대여론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
...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최비용과 관련된 반대여론은 경제적 수준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반영되지 못한 유치 계획에서 비롯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경제적 가치가 높은 올림픽을 준비하기 위한 ‘대중의 채찍’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남북관계에 기인하는 개최 반대여론은 북한의 공동개최 요구에 의해 발생했으며 국제사회의 여론이 일관되게 지지해 준 것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사회적 분열을 야기하기도 했다. 셋째, 도시개발과 관련된 반대여론은 ‘올림픽에 대한 반대’보다는 ‘올림픽으로 인한 부당한 희생에 대한 반대’의 형태로 드러났다. 결국 과업 지향적인 사회의 암묵적 동의가 서울올림픽으로 인한 부당한 희생을 유발시켰고 그것은 우리 사회가...
[학술논문] 6․25전쟁 발발 후 유엔에서 논의된 동북아 현안(1950∼1951)
...첫 번째, ‘미국이 중국영토 타이완을 침략’했다는 이유로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미국을 제소한 것이다. 두 번째, ‘미군기의 중국 동북지역 영토 침범’으로 미국의 공군기가 중국국경을 넘어가 동북지역을 폭격하였다고 역시 미국을 제소한 것이다. 세 번째 의제는 중공군이 6·25전쟁에 출병하자 미국이 국제사회의 여론을 환기시켜 중공군을 침략자라고 규정하려 한 것이다. 이들 의제를 고찰할 때 관심을 둔 것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영토침범’이다. 또 하나의 관심사항은 논쟁 관련국과 의제 당사국들이다. 당시 이들 의제를 제기하고 열띤 논쟁을 벌인 국가는 중국, 미국, 그리고 소련이었다. 그러나 실제 의제의 주인공인 국가는 남한과 북한, 그리고...
[학위논문]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통일 대응 연구 : 1980년 이후 교포교회, NCCK, WCC의 통일 운동을 중심으로
...대응과 북한 정권의 통일정책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그련은 북한 정권 주도하에 설립되었고, 북한 정권의 종교정책을 시행하였다. 둘째, 조그련은 1948년부터 북한 정권의 통일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북한지역의 교회들을 선동하여 통일운동에 참여시켰다. 셋째, 조그련은 국외에서도 사회주의 기독교 국가와 연대하여 국제사회의 여론을 유리하게 조성함으로써 남한을 국제사회에서 고립시키려고 시도했다. 넷째, 1980년대 이후부터 조그련은 교포교회, NCCK, WCC가 전개한 통일운동에 편승하여 북한 정권의 통일사상과 이념인 조국 통일 3대 헌장의 실현을 위해 매진했다. 다섯째, 조국통일 3대 헌장이란 북한 정권이 1946년부터 한반도를 통일하기 위해 추진해왔던 통일전선과 전략을 체계화한...
[학위논문] 노태우 정부 북방정책과 통일전략 연구
...북핵개발이 지속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는 지점은 몹시 아쉬운 점이다. 셋째, 국내외적 환경의 부정적 변화다. 이는 북핵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노태우 정부가 한반도 평화통일기반 구축을 위해 북한을 개방하는 북방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을 대내외에 선언했을 초기는 국내외적으로 상당한 지지와 호응이 있었다. 그러나 북핵개발 문제가 국제적 안보 위협요인이 되면서 국제사회 여론은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남북한 관계개선보다 북한 비핵화에 더한 관심과 지지를 보냈다. 국내정세도 초기와는 달리 정권 말기에 대선정국이 들어서면서 간첩사건이 터지자 국내여론도 북방정책의 남북관계 개선 등 북한개방의 통일문제에 대해 냉담해졌다. 넷째, 남·북·미 세 행위자의 국익추구 속성의 상충성이다. 미국과 북한 그리고 노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