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조선왕조실록 번역 비교 - 『현종실록』을 중심으로 -
...형태를 유지했다는 점으로, ‘수정실록’이나 ‘개수실록’도 별도의 실록으로 인식하여 원형대로 번역하였다. 몇 개의 주제로 나누어 번역 사례를 추출하고, 이를 어휘와 문장, 전문 어휘, 주석, 오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번역문에서 드러나는 가장 큰 차이점은 한자와 한자어의 사용이다. 남한 번역은 국한문 혼용을 원칙으로 고유명사, 역사 어휘 등에 한자를 병기하고 한자어도 빈번히 사용하였다. 반면 북한은 쉬운 말로 번역한다는 원칙 아래 고유명사 등에도 한자 병기를 전혀 하지 않았으며, 역사 어휘 등도 가능한 쉽게 풀어 썼다. 이로 인해 남한 번역은 직역에 가깝고, 역사 어휘 등을 그대로 사용하여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반면 북한의 번역은 모든...
[학위논문]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그동안 부분적인 개정이 있었지만 기본 방침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극어 순화 정책은 일제 강점기 이후 지금까지 계속 진행되는 사업이며 한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정책이라고 하였다. 국어사전 편찬은 그동안 민간에서 추진하던 것을 지난 1999년에 국가에서 정책으로 채택하여 처음으로 『표준국어대사전』을 편찬하였다고 하였다. 문자 정책은 한글 전용과 국한문 혼용이 뒤바뀌면서 진행되었지만 정부의 방침은 '한글 전용 원칙과 한문 교육 병용'이라는 기본 틀은 계속 유지하고 있다고 하였다. 국어과 교육 정책은 지금까지 7차례 개정이 되었는데 비교적 국어과 교육이 지향해야 할 현실과 이상이 조화를 위해 발전적 노력을 해왔다고 하였다. 국어 정보화 정책은 '21세기 세종계획'이라는 중장기 계획을...
[학술논문] <관동별곡>의 국어 교과서 수록 양상 비교 - 남한·북한·중국 조선족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남한ㆍ북한ㆍ중국 조선족의 국어 교과서에 공통으로 수록된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작품의 선정 배경, 수록 양상, 학습활동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세 곳에서 <관동별곡>을 교육 작품으로 선정한 배경을 선행연구와 교사용지도서 검토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3장에서 수록 양상을 분석한 결과 남한은 국한문 혼용 전문, 북한은 국문 및 금강산 찬양, 중국은 국한문 혼용 및 다양한 표현수법 사용 부분을 수록하고 있었다. 학습활동 분석 결과 남한의 경우 내용, 목표, 확장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고, 북한은 수사법 알기, 금강산 찬양, 자연묘사글쓰기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중국은 이해 활동, 수사법 및 표현적 효과 알기 활동, 가사의 운률조성 알기 등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