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 군사회담의 제약요인과 가능조건
이 논문은 남북 군사회담의 환경요인에 주목하여 제약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가능조건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남북 군사회담은 군비통제를 주요 의제로 삼지 못했다. 정치적 현상유지에 대한 공감대, 정치적 갈등 약화 등 군비통제의 필요조건이 결여되고 충분조건 또한 변형되어 나타나는 등 회담의 환경요인이 성숙되지 못했던 것이다. ‘군비부담 조건’은 북한에게 유일한 안보자원이 군사력이라는 점에서 군비통제의 유인요인이 되지 못하며 ‘동맹 조건’은 한미동맹이 상호 억지력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북미관계로 변형되었다. 따라서 남북 군사회담이 실질적인 군비통제의 장이 되기 위해서는 ‘정치적 현상유지에 대한 합의’를 전제로 ‘상호 억지력의 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