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0년대 북한의 군사주의 확산 과정 연구
...경제· 국방건설 병진노선을 강화하고 군사비를 대폭 증액시켰다. 이러한 군사력 강화 정책은 군대의 정치적 참여 확대 및 군사주의의 제도화로 이어졌다. 또한 군부의 정책결정 영향력 증대와 군사력 강화는 김일성의 한반도 혁명 완수 의지와 맞물려 1968년 전후 1·21 청와대 습격사건과 푸에블로호 나포 사건 등 공세적·군사적 모험주의를 추구한 배경이 되었다. 또한 군사주의의 확산은 경제발전전략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군사력 건설이 국가 정책에서 특별한 우선권을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모습이 정책화되어 등장한 것이 바로 ‘경제·국방건설 병진노선’이었다. 북한 주민들 역시 ‘중공업 우선 발전론’과 ‘군중동원을 통한...
[학술논문] 냉전분단시대 ‘對遊擊隊國家’의 등장
...이른바 ‘유신체제’가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을 거시적으로 검토하여 그 체제에 기반한 국가의 성격을 밝히는데목적이 있다. 이 국가체제의 등장을 역사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1930년대 만주국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 反滿抗日세력에 대한 치안숙정공작에 앞장서며 일제의 防共 戰史로서 양성된 조선인들의 경험을 파악해야 한다. 1968년 북한의 군사모험주의적인유격전 전개와 동아시아 냉전질서의 변화를 계기로 1972년까지 국가체제의 재편을 주도한 이들이 만군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0년대 이전까지 이들이 지녔던 인식과 경험은 새로운 국가체제 수립을 주도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일제 식민지시기 국방국가론 학습을 통한 국가체제 인식과 ‘공비토벌’이란 경험은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학술논문] 김정은 통치술이 북한 군사정책에 미친 영향
김정은은 권력 장악 이후 무자비한 숙청과 군부 계급 길들이기 등 공포통치와함께 군사적 무력시위를 하면서 자신의 권력공고화에 치중하고 있다. 김정은의이러한 통치술은 북한의 군사정책을 공세적이고 군사모험주의 정책으로 추진토록 하였다. 김정은이 그동안 실시한 핵실험과 수회의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에 군사적 긴장은 물론 국제사회의 강도 높은 북한제재로 이어지면서 북한의 고립화와 더불어 전통적 우방국인 중국과의 관계마저 단절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또 휴전선인근에서의 대남군사도발과 위협은 남북교류를 차단시키고 개성공단의 가동을멈추게 하였다. 김정은 자신의 체제유지 수단을 핵과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다. 김정은은 앞으로 공포통치를 지속하면서 추가적인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대남군사도발을 통해...
[학술논문] 제7차 노동당 대회 이후 대미정책 전망 - 미북평화협정 제의를 중심으로 -
...1989년 민주혁명을 계기로 완전히 무력화된 상황이다. 더구나 유일한 우방국이자 생명선이 중국사회주의정권 역시 지금은 일당독재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향후 세계사의 변화에 따른 급변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농후한 실정이라고 하겠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정권은 세계사의 시대적 흐름과 조응하여 개혁과 개방체제로 나아가기 보다는 도리어 시대역행적인 독재체제와 군사모험주의체제를 유지하려고 혈안이 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7차 노동당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김정은 3대 세습체제를 공식화하는 대회이다. 이 대회를 통해 김정은 유일지배체제를 대내외에 공식적으로 선포하고 있다. 그리고 북한정권이 핵보유국임을 공식적으로 천명하고 있다. 이를 기초로 향후 대미정책은 평화협정체계에 모든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학술논문] 1960년대 북한의 병진노선 채택과 군사적 모험주의에 관한 역사적 분석
본 연구는 1960년대 북한이 경제․국방병진노선을 채택하고 군사적 모험주의를 감행한 원인을 역사적으로 고찰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1960년대 중반을 전후로 북한이 처한 대외적상황을 고려해 볼 때, 당시 북한의 선택은 대중국 동맹관계에서의 ‘방기’우려를 해소하기위해서 결정된 측면이 컸다. 베트남전에 대처하기 위한 사회주의진영의 공동대응에 반대하는 중국의 태도로 인해 북한은 ‘방기’ 우려에 직면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고, 바로 이런 상황에서 1966년 북한의 병진노선이 채택되었다. 한편, 1960년대 후반 북한이 군사적 모험주의를 감행한 이유는 한반도에서 미국의 위협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사회주의진영의 공동대응의 필요성이 절실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