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역대 정권의 당군 관계 변화 및 현재적 의미: 역사적제도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공산주의 정권이 세워지기 시작하였다. 이와 동시에 후일 북한군으로 발전하는 군사조직을 설립하게 되었고 이 군사조직이 더욱 체계화되면서 한국전쟁을 일으키게 된다. 북한군은 사회주의 국가들이 그러하듯이 공산당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는데, 크게 한국전쟁 이전과 한국전쟁 이후 그리고 김정일, 김정은 정권으로 이어지면서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그 변화는 군대의 위상과 역할이 달라진다는 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도 그 저변에 있어 변치 않는 흐름은 김일성을 비롯한 독재자 개인의 사병화된 군대라는 사실이며 당군 관계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성향은 철저히 적용되어 왔다는 것이다. 역사적제도주의는 변혁이라는 역사적 현상 속에서 제도가 생성되거나 변형되면서도 시간이 흐름에 따른 역사의 맥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학술논문] 북한 전략군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연구
북한에서 핵․미사일 전담 운용 부대는 포병군단으로 창설된 이후 미사일지도국, 전략로켓군, 전략군으로 명칭이 변화했다. 북한 전략군은 지상군 및 해․공군과 구별되는 독자적 군종으로서 제4군의 위상을 가지며, 총참모장의 지휘․통제를 받는 다른 부대와 달리 최고사령관으로부터 직접적인 명령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김정은 체제가 추진하는 경제건설 및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에서 전략군은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지만, 핵전력 구축 초기라는 점에서 아직까지 제대로 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전략군은 북한이 기존에 유지해 온 재래식 전력 중심의 군사전략에 유연성과 다양성을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의 운용에 전략군이 관여하지 못할 경우 북한 내에서 핵․미사일 전력의 운용 권한을...
[학위논문] 김정일 시대의 핵심엘리트 연구 : 충원과 인적구성을 중심으로
...선군정치를 의미하는 군 엘리트의 위상 강화가 두드러졌다. 주석단, 현지지도, 측근연회 모두 군 엘리트의 비중이 현저하게 늘어났고 김정일의 측근에서 활동하고 있다. 김일성 시대에 주석단 상위 50위내 군 엘리트가 고작 5명이었지만 2005년에는 14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이들 중 상위 10위내에 4명이나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군 엘리트의 위상이 어느 정도 강화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둘째, 노동당의 정치국 및 비서국의 역할이 축소되고 당의 전문부서와 내각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김일성 시대에서는 정치국이 정책결정을, 비서국이 결정된 정책의 집행을 감독하는 기관이었다. 하지만 이 두 기관의 역할은 줄어든 반면, 상대적으로 전문부서와 내각의 역할은 강화되어 활약이 두드러졌다. 1994년...
[학위논문] 中國과 北韓의 軍事思想과 黨·軍 關係 比較 硏究 : 黨의 軍事指導思想과 領軍體系를 中心으로
...같은 연구 의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채택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文獻硏究)를 통해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에서 국가 간 비교방법론(比較方法論)을 적용하였다.
연구에 적용한 분석방법으로 크게 중국과 북한 군사지도사상과 당·군 관계 및 영군체계를 2개의 축(軸)으로 구분하였다. 세부 분석요인으로 군사지도사상과 당·군 관계 측면에서는 ① 군의 기원과 건군사상(建軍思想) ② 혁명무장투쟁에서 군사지도사상과 군대의 역할 ③ 당과 군대 간의 관계인식을 분석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영군체계 측면에서는 ④ 군사국방 지휘·지도체계 변천 ⑤ 당중앙군사위원회 ⑥ 총정치부(북한 총정치국) ⑦ 국가중앙군사위원회(북한 국방위원회) 로 선정하여 중국과 북한의 차이를 도출하는 연구를 하였다...
[학위논문] 북한 권력엘리트 변화양상과 경향분석
...국가조직의 통제를 강화할 것이며 당2024;정2024;군의 권력엘리트들의 융합체제를 위해 당2024;정2024;군의 권력기구에 권력엘리트들을 상호 중복되게 편성함으로써 권력기구 간 상호 견제 및 통제를 할 수 있도록 융합체제를 지속할 것이다 (2) 행정기관인 내각의 역할을 강화하면서 당과 군의 상호 견제를 하고 군에 대해 강력한 통제를 강화할 것이다 김정은체제에 접어든 ’12년부터 북한군이 갖고 있던 각종 이권사업을 내각으로 이관하는 조치가 취해진 것은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있던 행정기관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 행정기관의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당에 의한 군의 통제가 더욱 강해진다는 것은 군의 자율성이 상실되고 군의 위상이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3) 당2024;정2024;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