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후의 의회형태로서 양원제 ― 양원제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와 함께 ―
양원제는 의회를 두 개의 원(chamber)으로 구성하는 제도를 말한다. 의회가 두 개의 원으로 구성되면 의회는 상이한 집단에 속하는 국민을 대표할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원으로 구성된 의회는 다양한 집단의 의사와 이익을 반영하여 더 많은 국민들이 동의할 수 있는 결정을 신중하게 내릴 수 있다. 또한 의회 안의 권력분점을 통해 입법기관 내부의 견제와 균형을 통한 권력의 통제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다양한 집단의 의사와 이익을 반영하게 되면 합의의 도출이 쉽지 않고, 그만큼 중요한 국가의사결정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동일한 정당이 두 개의 원에서 모두 다수당이 되면 사실상 입법기관 내부의 견제와 균형도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 미국이나 독일과 같은 연방국가에서 상원은 지역대표성을 갖는다. 반면에 영국의
[학술논문] 남북협력체제의 법적 틀과 지향점에 대한 헌법적 탐구
...내용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광범위한 정책형성의 자유를 부여하고 있다. 한편, 헌법은 국가에게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통일정책의 수립과 추진의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이 의무는 통일단계 뿐 아니라 통일을 위한 현재의 모든 교류협력단계에도 적용되는 의무이다. 따라서 교류협력추진과정에서 국가에게 광범위한 자유가 허용되어 있지만, 의회주의의 원칙, 권력분립의 원칙 같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의 중요한 내용을 위반해서는 안된다. 남북관계발전법에 따른 남북합의서에 대한 국회동의의 법적 효력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하여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판문점선언은 그 내용을 볼 때 역대 남북정상회담결과 발표된 선언들과 마찬가지로 법적 효력이 없는 정치적 선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한 국회의 동의가 있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