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료정치와 관료세력의 권력자원 동원: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 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관료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권력자원을 활용하여 관료정치를 진행하는지를 관찰,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통일부는 대화를 지향하는 정책선호를 가지고 있으면서 자신의 선호가 정부의 정책으로 최종 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권력자원 가운데 전문성과 국회, 언론 등을 주로 활용한다. 외교부는 대화와 제재의 병행 전략을 선호하면서 이를 정책화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여론, 국제기구, 다자협의체 등을 동원하고, 때로는주변국의 동향에 대한 정보와 주변국의 영향력도 권력요소로 이용한다. 국방부는북한에 대한 강경정책을 정책선호로 하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군사정보를 바탕으로 한 전문성과 국제기구, 언론 등을 주요 권력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들 관료조직들은 자신의 권력자원을 확충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학술논문] 북한체제의 지속과 변화: 김정일시대 체제 규범과 통치기제 운용을 중심으로
레짐이론에 바탕을 두고 북한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할 수 있는 모델을구성하여 김정일시대 북한이 김일성시대와 어떤 지속성과 변화를 보였는지 분석하였다. 김일성시대 북한체제의 규범들은 예외를 인정하지 않는절대주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김정일시대 북한체제의 규범은 절충주의적 성격이 뚜렷하였다. 수령은 사회적 권력 전체를 독점하기보다 가용한 권력자원을 우선적으로 확충하고 활용하였다. 수령의 의지도 핵심부문 및 영역을 중심으로 관철되었다. 계획경제의 틀을 유지했으나 실리를 추구하였고 집단주의를 내세웠으나 개인주의도 제한적으로 수용되었다. 정치·사상적 유인을 강조했으나 물질적 유인과 전문성도 중시되었다. 통치기제 운용 면에서는 감시·억압기제를 우선적으로 강화 및활용하면서 사상통제기제와...
[학위논문] 1970년대 북한 수령제의 정치동학
...직접 경험한 사람들의 증언과 이 시기 김일성김정일 연설에서 나타난 현실적 내용을 기준으로 1970년대 북한 수령제의 모습을 새롭게 분석하려 했다 본 논문의 가장 기본적인 주장은 수령제는 당국가체제 위에 수령을 얹은 구조가 아니라 당국가체제 한가운데에 수령직할제도를 삽입한 구조라는 것이다 수령직할제도란 수령이 직접 관할하는 집단과 기구를 통해 자의적으로 권력과 자원을 분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공식적비공식적 제도들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북한의 정치제도 가운데 특히 개인독재에 종사하는 기제들을 선별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 개념을 통해서 본 논문이 입증하려 했던 북한 정치의 현실은 다음 세 가지다
첫째, 수령제에서 사회주의 당국가체제는 실질적으로 파괴되었고 개인독재를 위한 제도들이 체제의 핵심축으로 새롭게...
[학위논문] 1970년대 북한 수령제의 정치동학
...직접 경험한 사람들의 증언과 이 시기 김일성김정일 연설에서 나타난 현실적 내용을 기준으로 1970년대 북한 수령제의 모습을 새롭게 분석하려 했다 본 논문의 가장 기본적인 주장은 수령제는 당국가체제 위에 수령을 얹은 구조가 아니라 당국가체제 한가운데에 수령직할제도를 삽입한 구조라는 것이다 수령직할제도란 수령이 직접 관할하는 집단과 기구를 통해 자의적으로 권력과 자원을 분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공식적비공식적 제도들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북한의 정치제도 가운데 특히 개인독재에 종사하는 기제들을 선별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 개념을 통해서 본 논문이 입증하려 했던 북한 정치의 현실은 다음 세 가지다
첫째, 수령제에서 사회주의 당국가체제는 실질적으로 파괴되었고 개인독재를 위한 제도들이 체제의 핵심축으로 새롭게...
[학위논문]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본 북한 3대 지도자의 정당성 주장 변화 분석
...권력 체제를 견고하게 했으며, 그 덕분에 공산권이 붕괴하는 상황에서 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다. 김정일은 고난의 행군을 겪으며 통치 이데올로기를 선군으로 변경하여 퍼포먼스 정당성 주장을 경제적 조건이 아닌 국가안보로 공적 이해를 변경시켰다. 김정은은 강력한 경제제재라는 환경과 짧은 승계 기간의 어려움에서 통치 이데올로기를 김일성-김정일주의로 삼아 부족한 권력 자원을 방어했다. 김일성-김정일주의 통치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인민에 대한 사랑을 퍼포먼스 정당성의 기준으로 바꾸어 국가와 통치자의 역할을 공적 서비스 제공으로 국가와 통치자의 영역을 한정했다. 마지막으로 아직 북한이 사회주의 정상국가의 기준이 되는 당 제도에 의존하는 변화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90년 동안 북한 통치자들의 텍스트에 대한 토픽모델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