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시아 사회·정치철학의 특징과 현실 -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현재 우리는 1백여 년 전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 정세’에 세계열강이 주목했던 당시와 유사한 모습이다. 강화도조약(조일수호조규, 1876년) 이후 한일합방(일한병합, 1910년)으로 한국(당시 대한제국)은 망국의 길로 들어섰다. 러일전쟁 개시 100돌이었던 2004년에, 100년 전 동북아시아에서 일어난 대량 살육 관련기사가 한국과 주변국의 신문지상을 장식했다. 한국의 보수 신문들은 ‘그때’와 ‘오늘’의 정세 불안의 유사성을 강조하며 국가 부강의 필요성과 한국을 보호할 수호천사로서 미국의 역할을 역설했다. 하지만 100년 전 미국과 영국 등이 일본의 한반도 강탈에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다는 사실은 제대로 언급되지 않았다. 한편 ‘뉴라이트’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