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옥삼의 무용음악에 관하여 -사도성의 이야기 중에서-
...볼 수 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춤에는 긴염불, 도드리, 진양조 등 6박 장단, 중중모리나 타령, 자진모리 등 4박 장단 그리고 엇모리장단들을 활용하였는데, 전체적으로는 템포가 다른 6박 장단이 기조를 이루고 있다고 하겠다. 오늘날 굿이나 춤 반주를 비롯한 한국 전통음악에 불규칙하고 다양한 박자 단위의 장단들이 활용되는 양상에 비하면 매우 규칙적이고 단순한 박자 단위들이 활용되고 있는 편인데, 이는 무용극의 주제적 강조나 대중적 이해에는 더 쉬운 방법이 될 것으로 본다. 2. 음구조에서는 ‘솔라도레미’의 음계가 기조를 이루고 있으나, ‘미솔라시도레미’의 계면길 음구조도 본청을 바꾸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본 극에서는 계면길의 반음하향진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