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중을 감각하게 만드는 문학: 影本剛, 『近代朝鮮文学と民衆―三·一運動, プロレタリア, 移民, 動員)』(春風社, 2024)
...환원하지 않고 관계와 긴장 속에서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그 원리와 맞닿아 설명된다. 한편 이기영의 소설을 통해 제시되는 ‘재배치’ 개념은 전시동원체제 하의 가치 변환과 민중의 위치 변화를 흥미롭게 포착한다. 본 서평은 이러한 사유가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문학에서 국가로부터 배제된 이들의 자기-재배치 모색과도 연결될 수 있음을 언급했다. 끝으로, 자기번역의 결과이기도 한 이 저작은 ‘조선문학’과 ‘한국문학’의 관계를 새롭게 성찰하게 하며, 식민지–제국과 분단–냉전이라는 체제 전환을 가로지르는 연속성과 단절 속에서 한국문학·조선문학·재일문학·북한문학의 새로운 관계 설정을 탐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학술논문]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경성제국대학 강의노트 내용과 의의
다카하시 토오루는 동경제국대학을 졸업한 후 1903년 조선에 일본어 교사로 부임하여 여러 교육기관에서 근무했다. 그는 식민지 조선의 유일한 대학인 경성제국대학의 조선문학 강좌 담당교수로 1926년 개교할 때부터 1939년 3월 정년퇴직할 때까지 재직했다. 그가 경성제국대학에서 가르친 학생들은 근대적인 대학교육을 받은 제1세대 한국문학 연구자가 되고, 해방 후 남북으로 흩어져 남북한에서 한국(조선)문학을 연구하며 후진을 양성했다. 이제까지 이들 경성제국대학 조선문학 전공 학생들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이들이 받은 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이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최근 다카하시가 경성제국대학에서 강의할 때 사용한 강의노트 110권이 알려졌는데, 66권은 사상 관련 강의노트이고, 44권은 문학관련...
[학술논문] 북한의 방정환 인식 변화 과정 연구
...『주체문학론』 이후 방정환의 평가는 크게 달라진다. 1993년에 나온 『1920년대 아동문학집』에는 그 동안 ‘순수’아동문학으로 비판해 온 남한 아동문학이 대폭 수용되었다. 방정환은 ‘무산 소년의 계몽과 헌신’에 기여한 비판적 사실주의 작가로 평가된다. 2년 뒤 1995년 8월호 『조선문학』에는 「근대 아동문학의 개척자 소파 방정환」이라는 글이 실렸다. 이 글은 북한 자료로는 방정환의 생애를 가장 폭넓고 친절하게 서술한 최초의 글이다. 이로써 우리는 적어도 ‘근대 아동문학의 개척자 방정환’을 기점으로 하는 통일 아동문학사 서술의 일단을 합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북한의 방정환 인식 변화는 향후 통일아동문학사 서술에서 긍정적 전망을 준다.
[학술논문] 이광수의 『무정』에 대한 북한문학의 문학사적 인식의 변화 양상 고찰
...‘근대적 장편소설의 효시’로 평가받는 이광수의 장편소설『무정』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북한 문학에서 바라본 『무정』에 대한 문학사적 인식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광수의 『무정』 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평가는 1980년대를 기준으로 양분된다. 즉 1980년대이전 비난 일색이던 방식에서 1986년을 기점으로 점차 긍정성과 부정성을함께 고찰하는 양면적 평가가 진행된다. 북한에서도 1980년대 중반 이래로공정한 평가의 대상으로 이광수와 『무정』에 대한 문학적 공과를 함께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문학사에서 1950년대 이래로 1970년대까지는 『조선문학통사』(1959) 중심의 ‘부르조아 반동문학가’로만 호명되던 이광수가 1980년대 중반에 『조선문학개관』(1986)에...
[학술논문] 전후 일본에서의 조선근대문학연구의 성립과 전개-<조선문학의 회>를 중심으로-
이 글은 <조선문학의 회(朝鮮文学の会)>를 중심으로 전후 일본에서 일본인의 한국근대문학연구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살핀 것이다. 1960년대 들어 일본에서는 식민주의 또는 식민지 지배 책임의 자각 위에서 스스로를 기존의 ‘조선학’과 구별하고자 하는 시대적․집단적 흐름이 생겨났고, 외국학으로서의 ‘조선근대문학연구’도 그 새로운 흐름 속에서 태동했다. 1960년대 초반 일본조선연구소의 문학연구회와 <조선문학의 모임>(1963~64) 그리고 1960년대 중후반의 독서모임과 문학사모임을 거쳐 1970년 <조선문학의 회>가 결성된 것이다. ‘일본인의 조선문학연구’, ‘하나의 조선문학’을 표방한 <조선문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