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특징과 통일 글쓰기 수업을 위한 제안
... 서사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두 단계에 걸쳐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처음은 지식 층위에서, 작품 내용의 특징에 대한 묘사적 분석적 글쓰기를 진행한다. 다음은 지혜 층위에서, 작품에 담긴 우리 민족의 전통적 가치와 의미를 도출하는 추론적 글쓰기를 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글쓰기 설계는 분단 이전에 남북이 공유했던 기억을 회복하고 향후 화합을 이룰 수 있는 소통의 글쓰기를 실천하는 데 기여할 바가 클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 인문학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 보장하는 소통과 협업 가능성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질 높은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다. 개인연구의 집합으로서의공동연구를 넘어 데이터 수집에서 최종적인 시각화까지 생각의 과정을 함께 하는 공동연구를 지향했다. 디지털⋅웹 환경이 일련의 과정을 시각적으로 공유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왔다. 둘째, 선형적 글쓰기를 넘어서 인문학의 새로운 표현 방식을 시도할 수 있었다. 북한 인문학 아카이브는 연구자가 놓치기 쉬운 의미관계까지 포착하여 네트워크 그래프로 드러냄으로써 인간의 직관을넘어서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었다. 위키 문서 역시 하이퍼링크, 타임라인, 전자 지도 등 디지털⋅웹 환경 고유의 생산력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선형적 글쓰기를 넘어 새로운 인문학적 표현을 시도할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