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평화통일을 위한 한국교회의윤리·선교적 과제
이 논문의 목적은 통일운동은 남한교회의 윤리⋅선교적 과제라는 사실을 전제로 하여 남북한 평화통일을 위한 남한교회의 윤리⋅선교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반도의 분단과정과 통일의 필요성을 이해하여야 한다. 남북한의 적대적인 관계를 청산하는 것으로서의 통일운동은 기독교인의 마땅한 윤리⋅ 선교적 과제이다. 하나님과 화해된 기독교인은 화해의 사명을 가지고 있다. 통일운동은 굶주리는 북한동포와 탈북자들을 돕는 사랑의 행위이고, 자신들의 권력유지를 위해 분단 상황을 악용함으로써 인권과 민주주의를 유린해온 기득권세력의불의에 저항하는 정의 행동이다. 더 나아가서 남북한의 통일운동은 남한교회가동북아시아에서 하나님나라의 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실천해야 하는 윤리⋅선교적
[학술논문] 이승만의 민족운동에 나타난 기독교 국가건설론과 사회윤리
...한국의 기독교 목회자들의 주도하에일어난 거족적 독립운동이라고 규정하면서, 대한민국은 기독교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국가이며, 한국을 ‘아시아의 모범적 예수교국가’로 만들고자 하였다. 그는한국을 기독교 민주주의 국가로 건설하기 위해 개인의 자유와 평등의 보장, 예수그리스도의 구속에 대한 신앙에 기초한 개인윤리, 그리고 역사 변혁적인 기독교사회윤리 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승만의 기독교 민주주의 국가건설론은 대한민국 건국의 과정에서 상당수의 기독교인들이 정부와 국회에 참여하고, 제헌국회 개원식에서 윤하영 목사가 기도를 하는 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승만이 한민족의 독립운동의방략으로 택한 친미적 외교독립노선은 1945년까지 미국정부의 호응을 얻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실패한 방략이었다....
[학위논문]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보는 한국교회 통일방안에 관한 연구
...나서 공공신학이 이해하는 하나님의 나라 개념 하에서 한국교회가 한반도 통일방안에 대해 어떤 응답을 해야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그리스도의 삼중직의 대리자로서의 기독교 사회윤리적 응답과 에큐메니칼 중재자로서의 기독교 사회윤리적 응답과 통일시민교육의 실천의 청지기로서 기독교 사회윤리적 응답이라고 하였다. 그리스도의 삼중직의 대리자로서의 기독교 사회윤리적 응답에 있어서는 개혁교회 전통 안에 있는 만인 예언자직으로의 응답, 만인 제사장직으로의 응답, 그리고 만인 왕직으로의 응답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에큐메니칼 중재자로서의 기독교 사회윤리적 응답을 설명하였는데 통일정치와 통일신학 간의 중재자, 진보 진영의 통일신학과 보수 진영의 통일 신학 간의 중재자, 탈북자 신학 및 북한교회(조선그리스도련맹)의 신학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