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노식의 생애 연구- 행적과 교유를 중심으로
...보다 판소리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판소리 분야에서의 연구는 정노식이 『조선창극사(朝鮮唱劇史)』를 저술하게 된 배경과 과정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주로 그의 생애 중에서 판소리와 관련된 행적에서 그친 것이어서 종합적인 인물론으로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왕의 정노식에 대한 평가, 『학지광(學之光)』과 『기독청년(基督靑年)』에 실린 정노식의 기고글, 『조선창극사』의 관련 자료, 정노식이 소장하였던 <퇴별가>의 행방, 신문 기사 등 최대한 관련 자료를 망라하고, 교유관계를 통하여 그의 생애를 재구하려 하였다. 정노식은 전북 김제 만경에서 1891년 출생하였으며, 이후 유년기에는 고향에서 한학(漢學)을 익혔던 것으로 보인다. 스무살 무렵인 1911년에는 상경하여...
[학술논문] 탈북 청년들의 기독교 회심과 신앙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하나님(북한/중국)’, ‘탈북 과정에서의 신앙적 체험’, ‘한국에서의 신앙생활’, ‘믿음의 전환점’, 그리고 ‘기독교 신앙으로 인한 변화’로 정리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기독교를 접하고 하나님을 믿게 되는 과정 속에서 어디에 있었는지에 따라 경험하는 것이 달라지므로 탈북 기독청년들의 삶과 기독교로 회심한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Rambo(1993)의 상호적 회심단계를 정황(context)과 위기(crisis)를 중심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끝으로 탈북청년과 그들의 신앙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이해해야 하는지, 한국교회와 기독상담자들이 어떻게 북한 사람들의 신앙발달과 성장에 기여해야 하는지 논의하였다.
[학술논문] 해방 공간에서의 사회 상황과 기독교
...달리하는 정권 이 들어서면서, 남과 북뿐만 아니라 남한 내에서도 오로지 이념 문제로 민족과 기독교가 분열을 거듭하는 삶을 살게 되었다. 그 결정적 사건이 1948년 대한 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전후에 일어난 제주4ㆍ3민중항쟁과 여순사건이었는데, 이 사건을 진압하기 위해 친일 경찰과 군인 등을 ‘애국자’로 둔갑시켜 대거 투 입하고 기독 청년을 비롯한 ‘반공청년단’이 이에 협력하였으니, 그 피해자가 된 일반 백성들에게는 ‘친일=친미=반공’ 인식이 강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6ㆍ25전쟁을 일으켜 우리 민족의 이념 분쟁을 고착시켰으 므로, 그 근본 책임은 일제와 북한에 있다 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스라 엘을 분열시킨 여로보암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