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가 박조열의 경계인으로서의 글쓰기
...대한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가 다루는 문제가 정치적이든 그렇지 않든 이는 공히 그의 작품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이 정치적인 문제를 꺼낼 때면 그는 검열의 문제와 마주해야 했고, 이에 대해 박조열은 표현의 자유를 주장함으로써 대항적 입장을 취한다. 이 과정에서 그의 연극적 형식 실험은 빛을 발하게 된다. 그러나 기록극에 이르러 그는 남북한의 정치적 이념을 표면적으로 다루면서, 남한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통합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지점에서 작가 박조열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다. 성과와 한계를 함께 고려할 때, 경계인으로서 박조열의 글쓰기가 남한 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분단을 포함한 경계에 대한 그의 관심과 검열에 대한 대항은...
[학술논문] 냉전시대의 기록극 정의신(鄭義信)의 재일 삼부작
본고는 냉전시대에 한반도와 일본을 둘러싼 이슈를 재일의 관점에서 그려낸 정의신의 재일 삼부작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먼저, 1950년대 한국전쟁기 배경의 「마치 들에 피는 꽃처럼」을 통해 일본이 한국전쟁에 개입해 전쟁을 수행한 사실을 드러내고 과거 일본의 침략전쟁에 동원된 기억을 소환하여 일본사회를 비판하는 재일 사회의 시좌를 밝혔다. 「제비꽃 미용실」에서는 1960년대 경제성장을 떠받친 탄광 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과 산재에 노출된 재일코리안의 굴곡진 삶이 일제강점기의 강제동원으로 시작된 탄광 노역의 역사임을 확인하고, 규슈 탄광촌 사람들의 소외된 삶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야키니쿠 드래곤」을 통해 한일·북일 관계가 새롭게 재편되는 냉전시대에 분단이 고착화되고 북한으로 이주하는 재일코리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