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안도 다리굿의 음악 구성과 현재적 의의-1981년 이선호·정대복의 다리굿을 중심으로-
...굿의 현재적 의의를 고찰한 글이다. 다리굿은 제차에 따라 다양한 무가가 불리며, 선율은 대개 평안도지역의 향토음악어법인 수심가토리에, 장단은 초가망장단과 푸념, 비나수, 덕담, 긴염불, 자진염불장단 등이 사용된다. 드물게 서울지역의 <타령> 무가를 가져다 부르기도 하는데, 이런경우 자연스럽게 굿거리장단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자료에는 다리굿의 모든 절차와노래(음악)이 비교적 온전히 갖추어져 있으며, 특히 앉은청배에서 부르는 (3+2+3+2)/8박자의 ‘초가망장단’과 느린 박자의 ‘긴염불’ 장단은 현재 전승이 끊긴 점에서1981년 다리굿 자료의 긴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1981년의 이선호․정대복 일행은평안도굿을 충실하게 연행하고 있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서울지역의...
[학술논문] 최옥삼의 무용음악에 관하여 -사도성의 이야기 중에서-
...춤과 음악의 실재를 알 수 있는 결과이기도 하다. 또 최옥삼은 한국 전통예술사의 흐름에서 볼 때 도제제도 내에서 성장한 명인이어서 이 결과는 그가 체득한 전통예술의 특징은 물론 변용방식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하며, 실재를 재현하거나 미래 한국 춤 반주음악의 참고자료로도 활용해 볼 수 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춤에는 긴염불, 도드리, 진양조 등 6박 장단, 중중모리나 타령, 자진모리 등 4박 장단 그리고 엇모리장단들을 활용하였는데, 전체적으로는 템포가 다른 6박 장단이 기조를 이루고 있다고 하겠다. 오늘날 굿이나 춤 반주를 비롯한 한국 전통음악에 불규칙하고 다양한 박자 단위의 장단들이 활용되는 양상에 비하면 매우 규칙적이고 단순한 박자 단위들이 활용되고 있는 편인데, 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