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최단기간에 원조하는 나라로 발돋움했다. 2021년에는 선진국으로 등극했다. 젊은 세대에게 엄청난 문화 역량이 있다. K-팝의 위상이 막강하여 중앙아시아 오지에서조차 방탄소년단을 모르는 청소년이 없을 정도다. 2024년 제33회 파리올림픽에서 우리나라 선수들은 예상외로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그 주역 또한 2030세대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한강 작가가 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우리는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경제 선진국, 문화 선진국으로 발돋움했다.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산업화와 민주화와 세계화를 동시다발적으로 이룩한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이다.
이제 외교적 과제가 남았다. 안보는 평화의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될 수 없다.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정치/군사]
...★국내 최고 미래학자 최윤식 박사 신작
★트럼프 2.0 시대 국내외 정세 심층 분석
‘북한 입장에서 전쟁은 자살 행위다.’ 한반도 전쟁 발발 가능성에 대해 흔히 나오는 반응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위험 정도가 다르다. 전 세계 전문가들은 한반도에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보듯이 나날이 고조되는 국제적 긴장 상황은 언제든지 실제 군사적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 정작 전쟁의 직접 당사자가 될지 모르는 한국은 걱정이 없는 듯하다. 전쟁 불감증에 빠져 있다.
북한은 핵도, 전쟁도 포기한 적이 없다. 지금은 오히려 군사적 역량을 과시하는...
[정치/군사]
...정규수가 급박하게 돌아가는 한반도를 둘러싼 팽팽한 긴장 상황과 주변 국가들의 대응 전략을 탄도탄이라는 특수한 창을 통해 바라보았다. 저자는 한반도 정세에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북한과 중국, 미국 및 러시아의 탄도탄 보유 현황과 그 개발의 역사를 소개하고, 언제든 중장거리 탄도탄 개발이 가능한 잠정 탄도탄 보유국 일본의 고체로켓 역사와 기술 수준을 살펴본다. 더불어 북한의 은하 2호 발사를 전후해 그들의 로켓설계와 성능을 가늠키 위해 역설계 해보는 등 탄도탄이라는 초정밀 재래식 무기를 둘러싼 주변 국가들의 속내와 변화무쌍한 전략들을 속속들이 분석하였다.
저자는 한반도와 그 주변 상황을 한반도와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탄도탄의 현황과 국방과학기술의 발달 정도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국, 러시아,...
[사회/문화]
...자료를 접할 때마다 직접 현장을 찾은 그는 현재 경복궁역 7번 출구가 한성임시정부 첫 회합터였고, 낙원동의 돼지머리 고깃집들이 화요회 회관 자리임을 눈으로 확인했다. 또한 조선공산당 창당 당시 김찬이 살던 하숙집 자리는 3개월 만에 찾아냈고, 한성임시정부 수립 당시 김사국이 살던 하숙집을 찾는 데는 1개월이 걸렸다. 이렇게 저자가 발로 찾아서 확인한 당시의 흔적들은 책 속에서 생생하게 되살아났다. 책을 읽다 보면, 1925년 4월의 어느 날 하숙집을 나서 조선공산당 창당대회 장소로 향하는 김찬과 김재봉의 긴장된 발걸음과 그들이 보던 거리의 풍경이 눈앞에 보일 듯하고, 북풍회관에 모인 사람들의 떠들썩한 분위기가 귓가에 들릴 듯하다. 그런 생생한 역사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까지 이어져 크나큰 울림을 주고 있다.
[통일/남북관계]
...다른 국가의 간섭이나 개입 없이 통일을 맞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남북한이 서로 국가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 책에서는 독일의 통일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 있다.
탈냉전 이후 세계에서는 이념적 대립이 사라졌다. 유일하게 남한 내에서만 이념을 정치적 쟁점으로 활용하거나 갈등을 조장하는 이슈로 사용한다. 남남갈등이 지속할수록 한반도 평화는 멀어지고, 한반도 긴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남남갈등을 해소하고, 북한을 국가로 완전하게 인정하고, 국내 헌법 등 법체계가 북한의 영토권을 보장하고 북쪽 땅에 세워진 국가를 법적으로 인정해야 남과 북의 정상회담과 교류협력이 법적인 정통성을 마련할 수 있고, 미래 세대들이 생각하는 이웃국가로서의 역할을 통한 국가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시간에 따른 사건 전개 및 긴장 정도 추이 연구 - KBS 뉴스의 {북한}을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n the progression of an event and the degree of tension considering time series. For this purpose, the thematic word {Bukhan} has been analyzed in the KBS News 9, which broadcasted from 2001 through 2013. {Bukhan} has the high frequency of use, but each time the frequency deviation is very wide. For instance, the frequency of {Mikuk} is much higher
[학술논문] 남북관계의 국내정치적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2007 남북정상회담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남북관계에서 국내정치적 제약요인이 갖는 영향력의 정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북관계에 관한 기존 연구는 국제정치 현실이라는 구조적 제약조건에 주목하여 국내정치 행위자들의 역할과 영향력을 간과했다. 그러나 남북한의 정치 발전과 변화를 고려하면, 남북관계의 동학에서 국내정치적 제약요인은 매우 강화되었다. 이 연구는 양면게임이론을 이론적 자원으로 2007년 남북정상회담의 협상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의 쟁점은 경제협력 강화와 군사적 긴장 완화를 추구한 남한의 입장과 서해 해상경계선을 재설정하려는 북한의 입장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남한의 경우 안보문제를 중시하는 보수세력의 격렬한 반대로 협상의 자율성이 상당히 위축되었으며, 북한의 경우는 유일지배방식에 의한 반대 의견의...
[학술논문] 제2의 해방: 북한 자주화와 1956- 57년의 중국-북한관계
...무력개입과 뒤이은 헝가리 임레나지(Imre Nagy) 정권의 붕괴는, 김일성의 불안감을 극도로 자극하였다. 이에 김일성은 ‘조선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 테이블에 유엔을 초청”할 것을 중국과 소련에 제안하고, 동시에 중국인민지원군의 철수 요구로 맞섰으며, 양국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다. 김일성의 철군요구에 마오쩌뚱은 대화를 통해 양국간의 긴장을 완하시키는 소위 ‘폴란드식 해결’ 방법을 선택하였다. 1956년말 중국은 중국인민지원군 철수를 결정하고, 1957년 1월 소련의 동의를 얻었다. 1957년부터 중국은 북한에 대한 대규모 경제원조 제공을 재개하고 일체의 정치적 간섭을 중지하면서, ‘김일성 달래기’에 나섰다. 1957년 11월 모스크바에서 마오쩌뚱은...
[학술논문] 탈북 고려인 시 연구 ― 현실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 이들에게는 ‘강제이주’를 자신의 원죄 의식으로 삼아 소비에트 국민으로서의 소속감을 강조해야 할 별다른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대신에 이들의 시에는 경계인으로서 또는 뿌리 뽑힌 자로서의 긴장이 내재하고 있으며, 인간의 근본적인 자유에 대한 갈망과 그 장애물에 대한 저항의식이 전면화되고있다. 또한 그런 가운데 각자가 처한 상황과 현실에 대한 인식 및 대응 태도,세계관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작품 경향을 보여준다. 탈북 고려인 시인들의 작품은 숙련된 한국어로 창작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작품성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독자들에게 쉽게 다가설 수 있다. 동시에 기존의 한국문학에서 바라보지 못했던 지점을 다루고 있으며 한민족의 디아스포라로서의 삶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을 촉진하고 만들어 가기 위한 한미양국의 북한 WMD 대응 방안
...북한의 지도부는 2년 전 바뀌었지만, 정책은 바뀌지 않았음이 매우 분명하다. 붕괴로 말하자면, 국내외의 위협으로 인해 곧 붕괴할 것이라는 지속되는 전망을 비웃기나 하듯이 북한정권은 놀라울 정도의 복원력을 보여주었다. 평화통일은 먼저 남북한 관여의 개선을 통한 의미 있는 화해를 요구할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해 대북 관여정책의 새로운 변형을 시도하고 있다. 북한정권은 핵무기를 포기할 의사가 전혀 없음을 명백히 하여 왔다. 김정은은 2013년초 미국과 한국에 대해 핵공격을 위협함으로써 한반도의 긴장을 위험한 수준까지 고조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줬다. 비록 북한이 현재 소위 “매력 공세” 단계에 있지만, 북한 정권이 불가피하게 도발로 돌아서는 것은 단지 시간문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