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의학의 성배 찾기 ― 남한에서 봉한학의 재탄생
...위치시킨다. 이러한 이론적 시각은 봉한연구를 사회적, 기술적 성취로 해석하는 동시에 과학자 사회의 인정의 정치를 동반하는 과정임을 이해케 한다. 경험적으로 이 논문은 봉한연구에 대한 과학 논문, 심층 면접, 보도 자료, 정부 보고서 등에 의존한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봉한학의 기원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1960년대 북한에서 김봉한의 경락연구를 간략하게 알아본다. 둘째, 2000년대 서울대 소광섭 교수를 중심으로 봉한학 연구가 시작된 계기를 알아본다. 셋째, 남한에서의 봉한학 실험의 형성과 진화를 알아보고, 넷째, 어떤 다양한 사회집단과 자원이 봉한학 연구에 동원되는지 알아본다. 다섯째, 봉한학 연구를 둘러싼 여러 과학적-사회적 논쟁을 알아본다. 결론에서는 봉한연구가 여러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