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학생의 쓰기 태도와 쓰기 효능감 양상 연구
본 연구는 학업 성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쓰기 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 북한 이탈 학생의 필요와 요구에 근거한 쓰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쓰기 태도와 쓰기 효능감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쓰기 태도와 관련된 남북한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탈북학생의 쓰기 태도와 효능감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탈북학생만이 재학하고 있는 경기도 H 중고등학교의 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쓰기 태도와 쓰기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이 지닌 변인 중 이전의 교육 경험(북한에서의 학교 교육 유무와 재학기간, 남한에서의 재학 기간)이나 입국 시기 등은 학생의 쓰기 태도와 효능감에 아무런 영향 요인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급 간 비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학술논문] 쓰기 학습에 대한 북한이탈 중학생의 요구 분석 연구
이 연구는 북한 이탈 중학생이 갖는 독특한 교육적 요구와 필요를 쓰기 학습 영역에 한정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 학습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 북한 이탈 중학생은 쓰기 능력의 중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으나 쓰기 활동에 대한 흥미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에서의 생활 기간은 한국에서의 쓰기 학습을 통한 쓰기 실력 향상에 기여했으나 쓰기 흥미도와 쓰기 능력에 대한 자기 인식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한에서의 쓰기 교육이 북한 이탈 중학생의 쓰기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쓰기에 관련된 정의적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은 쓰기 학습과 관련된 여러 요인에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