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지정이 훼손 탐방로 주변 토양과 식생피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훼손지에 적용된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제도가 탐방로의 토양과 식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위해 실시되었다. 북한산 국립공원 내 일반 탐방로(개방 탐방로)와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16년 동안 출입이 금지된탐방로(폐쇄 탐방로)의 토양의 용적밀도, 수분, 총 질소, pH, 유기물 함량을 측정하고, 지면피도를 조사하여 개방 탐방로와 폐쇄탐방로의 토양 및 식생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일반 탐방로의 토양은 탐방로 주변 식생지대의 토양에 비하여 용적밀도가 증가하고 수분과 총 질소,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여 훼손을 확인하였으나, 폐쇄 탐방로의 경우, 토양의 용적밀도, 수분, 총 질소, pH, 유기물 함량이 주변 식생지대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탐방로 폐쇄로 인한 생태적 회복을 확인하였다. 지면피도의 경우, 일반
[학술논문] 북한 산림 황폐화에 대한 국내 신문의 보도 특성과 정책적 함의
이 연구는 북한의 산림 황폐화에 대한 국내 신문의 보도특성을 분석하고, 남・북한 간의관계와 정치・군사・환경적 현안들이 국내 신문의 보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2001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주요 6개 신문(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한국일보)들에 보도된 북한 산림 황폐화 관련 기사 204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신문들은 북한 산림 황폐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산림 복구를 위한 남한의 대북지원 필요성에대해 긍정적으로 보도하였다. 그러나 북한 산림 문제가 남・북한 간의 정치・경제・군사적 갈등 상황과 연계될 경우에 보수성향의 신문들이 부정적인 논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산림황폐화는 주로 경제적 프레임의 시각에서 향후 남한 정부의 통일비용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