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해 상경성 내 제1절터의 건축적 성격
발해 상경성(上京城)에서는 지금까지 9개의 사찰지가 발굴되었다. 제1절터는 본채인 금당 양쪽에 곁채를 두고 본채와 곁채 사이를 복도로 연결한 구성이 특징이다. 또 본채는 금당의 평면형식 중에서 사방에 퇴가 있는 겹실형이라는 것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 본채와 곁채를 복도각으로 연결한 일체형구성은 그 사례가 매우 드물다. 현존하는 사찰로는 일본의 뵤도잉(平等院) 호오도(鳳凰堂)을 들 수 있는데 뵤도잉은 11세기 일본 아미타신앙의 대표적인 사원이다. 중국은 현존하는 본채와 곁채 일체형 사원은 없으며 돈황벽화의 아미타당 그림에 다수 그 사례가 나타난다. 신라에서는 일체형 배치를 아직까지 찾아 볼 수 없다. 곁채의 용도는 종루와 경루로 보는 견해가 압도적이지만 일본 호죠지(法成寺) 및 중국 샨화쓰(善化寺)의 경우는 곁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