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공간 변화를 통해 본 시인 김우철의 정체성
...자료의 한계로 인해 한정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사실이다. 본 글은 이찬‧민병균‧김조규에 비해 선행 연구가 전무한 재북 시인 김우철의 정체성을 시‧공간 변화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김우철(1915〜1959)은 출생 이후 문단에서 자취를 감추기 전까지 평안북도 의주에 거주하면서 문단 활동을 지속해 왔다. 그러나 ‘의주’라는 추상적인 공간은 ‘식민’‧‘해방’‧‘분단’이라는 시간상의 사건과 맞물리면서 구체적인 공간성을 확보했다. 이러한 시 ‧공간성의 변화는 자연스럽게 김우철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김우철은 해방 전에는 “과도기에 태어난 보잘 것 없는 인텔리-문인”으로서 ‘카프 지방 시인’‧‘국경...
[학술논문] 김우철 시 평가 양상을 통해 본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 -‘평화적 민주건설 시기’~‘전후복구건설 및 사회주의 기초건설 시기’를 중심으로-
...개조 완성, 1959년 부르주아 잔재와의 투쟁, 1967년 반종파 투쟁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서술 변화를 거쳐 왔다. 이러한 서술 변화는 ‘김일성을 주체로 하는 민족해방서사의 틀을 잡는 과정’에서 일어난 불가결한 현상이었다. 본 글은 1950년〜1990년대 사이에 출판된 5종의 북한 문학사를 대상으로, 이들 문학사에 수록 ‧ 평가된 김우철 시 작품을 통해 체제 변화에 따른 문학사 서술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59년판 문학사는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주제를 중시하였고, 도식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비판 ‧ 풍자 작품에 대한 비교적 자유로운 평가가 가능했다. 둘째, 1978년판 문학사부터는 주체문예이론이 공식화됨으로써 수령 칭송...
[학술논문] 예술의 특수성과 당(黨)문학 원칙 1950년대 북한문학을 다시 읽다
...북한의 유일사상체계인 주체문예론 탓에 존재조차 부정당한 1950년대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복원과 복권을 시도한다. 제2차 조선작가대회(1956) 앞뒤의 ‘도식주의 비판’ 담론을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1959∼67년 ‘부르주아미학사상 잔재’로 몰려 숙청된 안막, 서만일, 신동철, 전초민, 전재경, 리순영, 김우철, 김영석, 엄호석 등의 창작과 비평이 그 대상이다. 특히 ‘도식주의 문학 논쟁’에 대해서 『조선문학』 『문학신문』 매체 분석과 실제 작품론이라는 미시적 접근법을 통해 기존 연구를 수정 보완한다. 구체적으로는 1955∼59년 북한 문학장의 역동적인 흐름을 ‘이념, 주체, 매체, 미학, 작품론’ 항목으로 재구조화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