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직후 황해도 신천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기독교계의 대응
이 글은 해방 직후 북한 지방 사회의 변화와 기독교계의 대응을 황해도 신천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살피는 연구이다. 북한 지역사와 교회사의 상호절충 보완을 시도하는 연구이기도 하다. 해방 직후 신천의 기독교계는 토지개혁이라는 경제적인 문제보다는 정치적인 이슈를 중심으로 움직였다. 이는 당시 토지개혁이 대지주층을 기반으로 한 남북한의 정당사회단체조차도 부인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였는데 기독교계도 예외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반면 모스크바삼상회의 결과를 둘러싸고 신탁통치 파동이 전개될 때 개신교계 특히 장로교 측은 노골적으로 이승만과 김구에 대한 지지를 드러냈다. 소련군과 북한 당국은 기독교도연맹 창설을 통해 개신교회를 정권에 우호적인 조직 하에 망라했다. 반면 노골적인 반공주의를 보이지 않았던 천주교회에 대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