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우상화 전략 및 특성 비교 연구: 지도자 우상화의 ‘신화적 사고’ 접근 유·무 비교분석을 중점으로
...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우상화 전략 및 그 특성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특히, 김일성-김정일 우상화에 있어 ‘신화적 사고’ 방법으로 접근했는지를 집중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김일성-김정일을 신출귀몰한 초능력·초인간적인 인물로 묘사했는지 그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김일성원수님 어린시절』(1968),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선생님 어린시절』(1975)과 인민학교 국어교과서(1960년대~1990년대), 그리고 『김일성 전설집』(1987), 『김정일 전설집』(1996)을 주자료로 사용하였다. 결론부분에서 김정은 우상화와도 단순비교를 해보면서 김정은 우상화의 강도 및 김정은 정권의 지도자상징정치 현주소를 나름대로 제시했다.
[학술논문] 북한의 현대 이야기문학 창작 원리 연구–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1~5권)을 중심으로–
...원리라고 볼 수 있겠다.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에서 찾을 수 있는 북한의 현대 이야기 창작 방향은 크게 세 가지이다. 먼저 전통적인 신화 구조를 전반적으로 원용하는 방식이다. <만경대가문> 이야기는 <작제건신화>의 구성 원리를 전적으로 수용한 측면이 있다. 두 번째는 전통 이야기에서 신화소로 해석할 수 있는 요소를 부분적으로 원용하는 방식이다. 김일성의 이름이나 글씨가 신이함을 드러냈다는 <기이한 이야기>는 『삼국유사』에 수록된 <도화녀비형랑>이나 <처용랑망해사>의 벽사진경 화소를 신화소로 해석하여 끌어온 측면이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 북한 사회의 인민들은 자발적으로 전설을 만들어서 향유한다는 입장을 내보이고 있다. 김일성 가계의 3대 세습을 주민들이 온당하게...
[학술논문]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의 신화적 요소와 현현(顯現) 메커니즘
...체제의 창건주 김일성에 대한 신격화 요소를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에서 탐색하고, 이러한 신화소가 주민들에게 어떻게 믿음을 확보하는지 그 현현(顯現) 장치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대시기 향유 장르인 신화의 실제생활 적용 양상을 유추할 수 있어서 신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현대 북한 사회와 사람들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통일의 과정 속에 사람의 소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북한은 21세기에 찾아볼 수 없는 봉건왕조체제를 유지하면서 3대 세습을 정당화하는 데 문학적 장치들을 활용한다.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이 그것들이다.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한 후 연차별로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이 출판 보급되었다. 이 전설집에는 사망한 김일성을 하느님이나...
[학위논문]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의 종교적 성격과 의미 연구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을 기독교와 불교의 헌법과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의 서사 안에 기록된 보편화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북한의 최고 통치 규범 속에도 기독교와 불교에서 추구하는 보편화의 양상이 발견되었고,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에도 수령 김일성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적 요소가 ‘온 사회’와 ‘온 세계’에 확산되고자 하는 보편화(儀禮化)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의 종교적 성격에 대한 논의 결과 『금수산기념궁전 전설집』이 북한의 현대 이야기문학 속에서 종교인식의 변화와 수령 중심의 종교관 정립을 위해 종교와의 공통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동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