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정권의 핵 및 대남 정책 방향 진단
2009년 김정은 권력 세습이 시작되면서 북한의 핵정책과 대남정책은 현저히 강경화되고 공격성을 강화했다. 여기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첫째, 2008년 이래로 정권의 대내외적 생존환경이 악화되었다는 것과, 둘째, 권력 세습 과정의 개시에 따른 내부 정치적 불안의 가능성의 대두이다. 이러한 두 가지 위기에 대한 대응은 2009년부터 본격화되며 대내외 정책이 전반적으로 강경화되었다. 이후 핵정책과 대남정책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왔다. 첫째, 한미의 정책 방향과 무관하게 장거리 미사일 및 핵무기의 실험이라는 선제 도발을 감행한다. 둘째, 북한은 한국과 미국이 북한의 선제도발의 성과를 승인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협상안을 제시하고 이를 수용하도록 강경과 온건의 양면 전술을 통해 유도한다...
[학술논문] 북한의 핵무장력과 국가행동 변화 분석
...완성하고 증강시키려고 한 원인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를 거치면서 북한의 핵정책 수립과 발전이 ‘안보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시작하였지만 차츰 ‘힘의 극대화’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김일성 시대는 핵개발의 비밀성‧은폐성을 유지하면서 국제사회에 대한 모호성을 지렛대로 북한의 존재감과 외교적 성과, 특히 과거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미국과 북‧미 협상을 통해 보상과 지원, 관계개선을 이루어냈다. 김정일 시대에는 보다 진전된 핵개발 의지를 지렛대로 활용하여 북한의 정치‧경제적 이익을 도모하면서, ‘핵 보유국’의 목표를 달성하게 되었다. 김정은 시대는 핵무력 운용교리가 ‘자위적‧방어적’ 차원에서...
[학위논문] 북한 핵정책의 지속성과 변화에 대한 연구(1991~2018) : 실존적 억지에서 최소억지로
...첫째, 북한 핵정책에 있어서 협상과 확산이라는 서로 상반된 두 가지 지속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대미강제의 실패와 핵확산의 반복의 과정을 통해 북한의 핵억지 수준이 실존적 억지로부터 최소핵억지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셋째, 협상과 확산이 반복되는 것은 더 강력한 핵억지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대미강제를 시도하려는 북한 핵정책의 본질적 속성에 기인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는 한 이러한 반복은 북한 핵정책의 내재된 속성이다. 넷째, 북한에게 새로운 대미 강제와 핵협상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발적인 핵확산 중단과 제한적 비핵화를 통해 핵능력을 보유한 채 편승의 문턱을 넘어서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함의가 주는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김정은 위원장과 북한이...
[학술논문] ‘제한적 합리성’으로 본 북한의 대미 핵전략: 국제정세하의 핵 개발·억제전략을 중심으로
...대립은 맹목적이 아닌정확한 목표를 위해 작동되는 기제(機制) 또는 전략이 분명히 내재되어 있다고판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을 원용하여, 북한의 핵정책이 일정한 목적에 적합한 방식으로 작동되고 있다는 전제하에이를 설명하기 위해 ‘국제정세하의 변수(Variable)관계(종속, 준독립, 독립)’, ‘핵개발전략(도광, 편승, 균형)’, ‘억제(Deterrence) 전략(재래식, 최소, 응징적)’ 등3가지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은 이 분석 틀을 통시적으로 김일성 시기, 김정일 시기, 그리고 김정은 시기 등 각 정권별로 적용하여 북한 핵 개발전략의변동성을 검토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핵정책의 변동(2009-2017) : ‘전면적인 내부적 균형’의 핵정책 형성
이 글은 왈츠의 신현실주의 이론에 따라 북한 핵정책을 무정부적 국제체제에서 힘의 균형이 변화하는데 대응하여 자력으로 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규정하고, 북한이 2009년을 기점으로 ‘제한적인 편승’에서 ‘전면적인 내부적 균형’으로 핵정책을 전환하였다고 분석한다. 북한은 중국이 부상하면서 국제체제가 미국의 단극체제에서 미중의 양극체제로 변동되는데대응하여 ‘전면적인 내부적 균형’의 핵정책을 선택하고, 미중관계의 변화에조응하여 단계적으로 강화해 왔다. 북한은 미중관계의 변화를 ‘기회의 얼굴을 한 위협’으로 인식하고, 편승의 대상을 조정하는 약소국의 현상유지 경로가 아니라, 미중의 경쟁과 협력을 전략적 기회로 이용하여 핵억제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