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1960~1970년대 북한 애니메이션 연구
...반면에, ‘아동영화이론’ 이후의 작품들의 경우, 서사 방식 면에서는 우화와 동화적인 서사가 두드러지는데, 나비와 수탉>(1977)은 항일무장투쟁을 우화화한 것이고, 두장군 이야기>(1978)는 반미투쟁의 동화화한 것이다. 이외에도 이 시기에는 지적 교양 주제의 우화와 동화가 많이 제작되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꿀꿀이의 분수 공부>(1977)와 물우에 뜬 돌꽃>(1978)이다. 그리고 겨떡과 금덩어리>(1972)와 같이 각색된 전래동화들에서는 지주 계급을 능동적으로 응징하는 피지배 계급이 그려지는 작품이 제작되었다. 이 시기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된 창작방식은 의인화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동물을 의인화한 꼬마 선수들이 이겼다>(1975)와...
[학술논문] 북한 옛이야기 연구 - 「놀고먹던 꿀꿀이」를 중심으로 -
...꿀꿀이」는 모든 북한 사람이 알 정도로 유명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본고는 먼저 북한의 꿀꿀이 옛이야기를 전체적으로 정리·분석하고, 북한에서 가장 오래된 꿀꿀이 이야기인 「놀고먹던 꿀꿀이」를 중심으로 이야기의 역사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의 교육 양상을 살펴 보았으며, 캐릭터 분석도 진행했다. 우선 북한에서 꿀꿀이와 관련된 2008~2011년의 글과 아동영화 작품 총 18개를 뽑고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세 가지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북한의 모든 작품에서 꿀꿀이는 부정적인 성격을 가진다. 둘째, 대부분의 글로 된 우화는 농사짓기와 노동의 환경 속에서 발생하였다. 셋째, 꿀꿀이의 친척인 똘똘이는 항상 예의바르고 다른 사람의 칭찬을 많이 받는 캐릭터이다. 게다가 북한에서 인기있는 꿀꿀이 작품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