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 소재 남·북한 관련 자료- 베트남전쟁기(1954~1975년)를 중심으로 -
...소재 남북한 관련 자료를 소개하였다. 즉 ① 한국·남베트남 외교 관계수립 및 한국의 베트남 파병, ② 북한·북베트남 외교 관계수립 및 북한의 베트남전 지원 문제들에 대해 현재까지 베트남에서 이루어진 자료를 검토 및 소개하는 것이다. 베트남전쟁은 베트남역사에서 1954년부터 1975년 4월 30일까지로 정의하고 있는, 30년의 긴 역사였다. 또한 지리적으로도 베트남은 긴 나라이자 분단, 전쟁, 통일을 모두 경험한 나라이다. 때문에 베트남전쟁기를 중심으로 한 베트남 소재 자료를 검토 및 소개하는 연구는 30년의 역사에 대한 사료들을 발굴 및 수집한 것이자, 북베트남(사회주의체제)과 남베트남(자본주의체제), 그리고 현재 통일된 베트남에서 발행한 자료를 모두 조사해 소개한 작업이라고 할 수...
[학술논문] 남·북한 형법 통합을 위한 원칙과 방안
South korea, being the only divided country in the nation, is having 67th anniversary of division, and 70th anniversary of independence. Because it has been more than 100 years of confrontation, there are lots of difference in politics, law, economics, cultures, and even languages compare to North at present. In the case of Germany, even though they were divided as almost same period as Korea, they
[학술논문] 통일기반 구축을 위한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추진 전략
본 연구의 목적은 박근혜정부가 내세우는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과 관련하여 남·북한 간의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평화통일의 길로 나아가 궁극적으로 세계평화와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추진 과제에 대한을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은 남·북한과 국제사회의 이해관계 반영 및 남·북한 협의 전략을 비롯하여 분야별 8대 추진 전략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남북한의 공동 이익과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8대 전략의 추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발전과 지원이 절실하며, 남한 지역만이라도...
[학술논문] 남·북한 출판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성공적인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통일 이전의 문화적 교류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문화적 교류 가운데 정신문화의 핵심을 이루는 출판의 교류는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처럼 중차대한 출판교류의 활성화를 이루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는 정치․군사적 상황과 출판교류의 독립적 전개 및 별개화이고, 둘째는 공동 출판교류 위원회(저작권 위원회 포함)이며, 셋째는 국제행사의 공동참여, 마지막으로 공동 출판학술회의 개최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두보로서 지정학적으로나 인류문화사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북한과 매우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연변과의 출판교류를 선행하는 것은 남․북간 출판교류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학술논문] 누가 북한을 이해하고 오해하는가? : 남·북한주민 인식조사 비교분석
...아래로부터의 시장화를 겪으며 북한사회는 지난 20년간 경제, 사회, 문화, 가치관 등 다방면에 걸쳐 급격한 변화를 겪어왔다. 남한주민은 최근 북한의 변화를 얼마나 정확이 인식하고 있는가? 본 논문은 『2015 남한주민 통일인식조사』와 『2014-15 탈북자 인식조사』의 비교분석을 통해 위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다. 연구결과 최근 북한의 현실에 대한 우리 국민의 인지수준이 지나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정치현상이나 경제상황에 있어 남한주민이 생각하는 북한사회는 과거 김일성 시기에 머무르고 있어, 탈북자들이 전하는 최근 북한사회와는 상당히 괴리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또한 남한주민을 16개 변수로 세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사회에서 어떤 특성을 가진 집단이 북한의 현실에 가장 근접한 혹은 동떨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