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월북예술인 김태진과 발굴희곡 <임진왜란>(1946) 고찰
본 연구는 해방기에 공연된 김태진의 <임진왜란>(1946) 공연 대본 발굴에서 비롯되었다. 연구목적은 일차적으로 1946년에 공연된 <임진왜란>의 작품 분석과 해방기 역사극 규명에 있다. 동시에 이 작품을 계기로 그동안 한국 근대희곡사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예술인 ‘김태진’(1903~1949)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김태진은 식민지 시대 영화계와 연극계에서 배우, 감독, 극작가, 연출가로 활약한 전방위적인 예술가였다. 초기 경향파 영화와 카프 연극운동, 대중연극과 일제 말기 국민연극 등에 관여하며 식민지 문화예술인의 굴절된 삶을 살았고, 해방이후 진보적 연극운동을 하다가 47년에 월북했다. 해방 이전 김태진의 사상적 행보와 활동이력은 해방 이후 조선연극동맹(朝鮮演劇同盟)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