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근 북러관계의 변화: 현황, 동인, 전망 및 한국의 대응
...루블화 결제 등에 관한 협정을 맺었다. 북러관계의 진전은 여러 요인에 의해 촉발되었다. 무엇보다도 러시아가 신동방정책의 일환으로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자국의 존재감을 유지하려고 하는 모스크바와 국제적 고립을 탈피하고 외교적 활동공간을 넓히려고 하는 평양의 의도가 합치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제적으로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원조를 기대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북한의 협조를 얻어 한국을 포함하는 3각협력을 추진하려고 한다. 이러한 북러간 밀월관계는 한국에게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던지고 있다. 한편으로 북러관계의 긴밀화는 대한민국이 추진하고 있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에 좋은 기회가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북러간의 밀착은 북핵문제의 해결을 복잡하게 만듦으로써 한반도에 있어서 불확실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학술논문] 북한 핵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과 대러 협력방안
...핵실험에 대해서도 반대의 목소리를 냈으며 유엔의 대북 제재결의 2270호의 채택에도 동참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러시아는 체제의 존립 자체를 위협할 정도로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기본적으로 러시아는 북한 핵문제의 해결에 참여함으로써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또한 러시아는 대북 제재에도 남북러 3각협력과 극동개발 등 자국 이익의 실현기회를 보존하는 데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대한민국은 러시아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첫째, 한국은 러시아와 대북제재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서로 협력을 확인해 나가야 한다. 둘째, 북한 핵문제의 해결은 제재뿐만 아니라 대화를 통해서 접근해야하기 때문에 남북한 및 북핵 관련국들 사이의 대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