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80년대 북한의 단편소설에서 찾아 본 남한문학의 흔적 - 김관일의 「청년개척자의 수기」와 로정법의 「내 고향의 작은 다리」를 중심으로 -
...범위가 확대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아래 창작된 작품 중 김관일의 「청년개척자의 수기」와 로정법의 「내 고향의 작은 다리」에서 황석영의 「객지」와 홍희담의 「깃발」과 유사한 점이 있음을 포착하게 되었다. 김관일의 「청년개척자의 수기」와 황석영의 「객지」는 서로 모티브상의 유사성이 있는데 읍내 모티브, 비와 태풍의 모티브, 노동 현장의 노래, 다음 세대를 위한 그들의 희생 등으로 묶어볼 수 있으며 두 소설이 채택하고 있는 모티브의 유사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남한의 시대적 상황은 혁명과 항쟁이 없이는 설명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아래 놓인 청년들은 북한의 청년들과 닮은 부분이 있다. 로정법의 「내 고향의 작은 다리」와 홍희담의 「깃발」에서는 돌다리와 자전거가 서정적인 느낌의 소재로 등장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