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청년세대의 포용의 가능성 탐색 - 미디어문화워크숍 사례를 중심으로
세계화의 추세로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남한 청년세대의 북한 사회에 대한 무관심과 통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심화되고 있다. 또한 북한이탈청년들이 문화적 자본의 결핍으로 다양한 형태의 배제를 경험하는 현 상황은 기독교적 평화통일이나 사회통합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상호문화주의에 기초한 미디어문화워크숍을 통해 남북한 청년세대가 호혜적으로 포용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워크숍 참여자는 N학교 재학생들(북한이탈청년들)과 동일한 수(N=13)의 P 대학교 2014년 2학기 교육공학 수강생들(남한청년들)이다. 워크숍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평균을 비교한 결과, N집단의 미디어 리터러시 평균은 유의하거나 매우 유의하게...
[학술논문] 해방 공간의 재편과 접경/연대의 상상력 ―이광수의 『서울』을 중심으로―
...1948년 단독정부수립을 거쳐 남북한 분단 체제가 성립되어가는 가운데 탈식민화와 미국화의 사회 구조 변동 과정에 조응해 재편된 남한사회의 축도로서 서울이라는 공간의 성격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곳은 과거 식민의 체험과 기억을 극복하기 위한 탈식민화의 기획과 실천들이 수행되는 공간이다. 또한, 미군정 체제하 미국식 자본주의의 침투에 의한소비문화가 유행하는 곳으로서, 개인의 욕망이 발현되고 사회적 향락이 만연한 공간이다. 그리하여 정치경제적 혼돈과 이질적인 문화들이 잡거하고 있었던 남한사회의 공간질서를 재구축하기 위한 주체들의 이동이 다채롭게 분기하고 있었다. 특히 단독정부수립 및 48년 체제가 구축되어가던 시점에서 정치적 이념보다는 자본주의적 질서에기초해 자신의 삶을 영위하던 청년 세대들은 소비와 향락을 탐닉하는...
[학술논문] 20대 청년세대들의 남북한 통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예측하기 위한 변인 탐색: 의사결정 나무 예측 모형의 적용
본 연구에서는 20대 청년세대의 통일 필요성 인식을 예측하기 위해 2017년 통일연구원의 ‘남북통합에 대한 국민 의식 조사’에 포함된 조사영역별로 변인을 선정하여 남북한 통일의 필요성 인식과 관계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75명이었다. 통일 필요성 인식을 예측하기 위한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한 결과, 20대 청소년들은 남북한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 있어서 통일이 국가 전체에 이익이 되는 정도를 가장 먼저 고려하며, 통일이 국가 전체에 이익이 된다고 생각할수록 통일을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통일이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정도를 고려하며 통일이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고 생각할수록 통일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사회계층이동과 관련하여 자신을 포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