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한 상호이해교육 방안 탐색
...사회과 관련 교과서의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통일 논의 및 상대 체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초·중·고 교과서를 선정하였는데, 그 대상은 북한 교과서로는 도덕 및 지리 교과서이며, 남한 교과서는 도덕, 사회, 지리 교과서이다. 그리하여 상호 간에 통일 논의 및 상대방에 대해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 교과서에서는 김일성·김정일의 교시에 따라 핵심 내용이 소개되는 우상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또한 남한 사회에 대해 극단적인 비방을 통해 사회주의 체제를 찬양하고 있었다. 남한 교과서에서는 특히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
[학위논문] 중등사회과의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중등사회과를 중심으로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남북한 교육의 기본 방향 및 목표를 살펴 보고, 남북한 중등사회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체계를 통해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에서 구현된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도원칙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통일 대비를 위한 남북한 중등사회과 통일교육 내용을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준거 기준은 남한의 사회과교육과정의 주요한 기본개념의 내용체계에 터하여 설정하였기 때문에 남한 사회과인 정치, 경제, 사회문화, 역사, 지리 교과와 관련된 북한의 고등중학교 관련교과서에서 준거 기준에 부합된 내용들을 최대한 발췌하여 그 이질성과 동질성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학술논문] 통일 대비 북한 사회과 교과서 편수용어 분석 -『사회주의도덕』, 『사회주의도덕과 법』교과서를 중심으로 -
사회과교육은 그 사회의 이념과 체제, 기본 질서를 내용 요소로 다루는 교과이다.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를 비교해 보는 것은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는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초급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인 ‘사회주의도덕’과 고급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인 ‘사회주의도덕과 법’ 교과서에 수록된 편수용어를 분석하였다. 우리 교육부가 발간하는 편수자료와 비교해 보면, 북한 사회과 교과서에는 수록된 용어는 남한 사회과 교과서에 비해 그 개수가 적은 편이다. 그리고 수록 빈도에 따른 분석에서도 북한 사회과 교과서는 사회과학적인 용어보다는 사회주의 체제와 관련된 용어의 빈도가 두드러지게 많았고 용어의 등장 맥락 역시 북한 사회의 가치와 이념을 전수하기...
[학술논문] 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분단’
...논문은 남과 북이 교육을 통해 ‘분단’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으며 재생산하고 있는지 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분단’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남북의 교과서에 ‘분단’이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남과 북이 교육을 통해 ‘분단’을 어떻게 다르게 또는 비슷하게 가르치며 재생산하고 있는지 남북한의 도덕과 및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남한 교과서에는 분단의 원인과 과정이 주로 대외적인 변수를 중심으로 소개되고 있다. 또한 오랜 분단으로 인한 여러 폐해에 대한 설명이 주로 남한 주민과 사회가 감당하고 치러야 할 분단비용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적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하지만 분단이 북한...
[학술논문] 남북한 역사 교과서에 보이는 정몽주
...교과서에서 서술되고 있고 학생들에게 교육되고 있다. 그런데,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인물들이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 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특히 북한 역사 교과서에 실린 인물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런 점에 주목하여 이 글은 남북한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여러 인물들 중 고려 말 정치와 사상 등 여러 방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정몽주에 대해 살펴보았다. 비교 대상 교과서로는 우리나라 교과서는 2018년 7월 27일 개정 고시한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라 발행된 검정 교과서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북한 교과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해당하는 2015년에 간행된 초급중학교 제3학년용 『조선력사』와 2014년에 간행된 고급중학교 제2학년용 『력사』 교과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