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도시의 내부구조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북한의 도시화 과정을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두 측면의 도시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북한의 27개 도시를 대상으로 시(市) 산하 동(洞) 의 신설과 확대과정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 갯수의 절반 이상은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사이에 집중적으로 신설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반면 평양과 청진(함북)을 제외하고 1970년대부터 적은 수의 동이 신설되었고, 1970년대 이후 북한의 낮은 도시화 과정의 침체를 나타내었다. 1980년대와1990년대에는 신설된 동의 수가 약간 증가하지만 이는 특별한 도시건설 계획이실현되는 경우임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1980년대 이르러 제일 늦게 시로 승격된 8개 도시의 옛 읍과 옛 노동자구가 있었던 위치를 통해 각 도시의 도심지와부심지의 위치를
[학술논문] 북한 대내외 전략 모형화 연구
...전략의 보다 근본적인 구조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이를 모형화하고자 했다. 북한 전략의 가장 중요한 방향은 ‘지배자 안보’이다. 북한은 지배자 안보를 위한 2중-4중 구조가 작동한다. 2중 구조는 내부 구조와 외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내부 구조는 2개의 하위 구조가 있고 외부 구조 역시 2개의 하위 구조가 있어 결국 4중 구조를 이룬다. 이 구조 속에 놓인 변수이자 구조의 구성 요소는 5가지로, 지배자, 지배엘리트, 주민, 동맹국, 대립국이다. 내부 구조는 지배자와 지배엘리트의 관계와, 지배자와 주민의 관계이다. 외부 구조는 북한의 지배자와 동맹국의 관계와, 북한의 지배자와 대립국의 관계다. 이 2중-4중 구조 속에서 5가지 변수가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궁극적으로 지배자 안보를...
[학술논문] 4세기 서북한지역 명문자료의 다중적 메시지
...살펴보았다. 4세기 서북한의 명문자료에는 명문전과 묵서명이 있다. 명문전은 무덤의 축조과정에서 축조 재료로 매납되지만, 장송의례 과정에서 메시지는 지속적으로 노출되었고, 여러 점 내지 여러 세트의 명문전이 다량으로 제작되어 현실과 연도 등 고분의 여러 지점에 감입됨으로써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벽화고분의 묵서명 경우에는 무덤 안으로 들어와 내부 구조와 벽화를 구경했던 ‘관람자’의 존재가 상정된다. 이러한 명문자료는 고구려 중앙정부와 서북한지역의 구 낙랑대방군 세력과 북중국 망명인, 그리고 재지 토착세력 등이 독자로 상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명문에 있는 망자의 관작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4세기 명문자료 중에는 허호의 자칭이 다수 확인된다...
[학술논문] 한반도 동남부 백악기 경상분지 내 영덕단층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이번 연구는 영덕군 일원의 상세 지표조사를 통해 양산단층의 가지단층인 영덕단층의 내부 구조와 기하를 파악하고, 주변 퇴적층의 자세, 단층의 운동학적 자료와 단층암의 자기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영덕단층의 운동학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음영기복도에서 총 40 km의 연장을 보이는 영덕단층은 트라이아스기 영덕화강암, 백악기 퇴적암과 화산암을 절단하며 약 8.1 km의 우수향 수평변위를 보인다. 주로 북북서 내지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는 영덕단층은 영덕읍 화천리 이북에서 하나의 단층선으로 달리지만, 화천리 이남에서는 두 조의 단층대로 분기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 두 조의 단층 중 서편의 것은 북북동 내지 북동방향과 북북서 방향의 단층분절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반면, 동편의 것은 북북서 방향의 하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