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판적 북한학’ 시론: 사회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북한‘학’이 단지 객관적 세계 기술을 목표로 하는 전통이론이 아닌 비판이론의 성격을 가져야만 한다는 점을 밝혔다(2). 다음으로는 ‘내재적 접근’을 둘러싼 기존의 논쟁을 실마리로 삼아서 비판적 북한학이 봉착할 수밖에 없는 비판의 기준 혹은 토대 설정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었다(3).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비판적 북한학의 과제와 학제적 연구 체계에 대한 구상을 개략적으로 나마 제시해 보았다(4). 이와 같은 비판적 북한학 구상을 통해서 이글은 북한학이 비판이론의 성격을 가질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 비판의 규범은 ‘내재적인 동시에 초월적’이어야 하고, 이에 기초한 비판적 북한학의 연구 체계는 대안사회에 대한 해방적 관심의 주도 하에 진행되는 학제적 연구가 되어야...
[학위논문] 북한체제의 내재적 복종현상에 대한 종교학적 고찰
...지키기’와 피지배계급, 인민의 ‘내재적 복종’이 서로 조응(照應)관계를 이루며 지속되고 있는 체제로써, 북한은 종교국가 체제와 긴밀한 유사성을 담지하고 있다.
우리에게 익숙하면서도 낯선, 유교의 전용(appropriation), 근대성의 결여(缺如), 언어의 독점 그리고 태어나 죽을 때 까지 지속되는 치밀한 사상교육 등은 북한체제를 ‘보이는 힘(the seen power)’과 ‘보이지 않는 힘(the unseen power)’으로 통제하는 외·내재적 억압 장치들이다.
흔히 ‘종교의 잠재력’은 세속권력이 가진 힘을 초월해, 집요한 관성으로 재현되곤 한다. 북한내부에...
[학술논문] 북한의 시각정치적 언어에 나타난 신화적―초현실주의적 리얼리즘 연구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내용면에서는 사실과 환영의 중첩;살아있음과 죽음의 중첩을 드러내는데;엄밀히 말하면 가상적이고 허구적인 환영의 리얼리즘이며 지도자의 초월성을 가시화하는 신화적 리얼리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형식면에서는 묵시적 몽타주 기법과 지도자-인민의 관계를 대인-소인의 신체 재현 기법으로 재현하는 초현실주의적이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혼합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소련의 도상과 북한의 도상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북한의 리얼리즘의 특성을 분석한다. 예술의 본질적인 기능은 현실을 초월하는 것인데;이것은 예술과 정치적 실천 사이의 갈등을 야기한다. 그런데 북한의 리얼리즘은 예술과 정치적 리얼리즘 사이의 내재적인 갈등을 하나로 봉합하며 이데올로기화하는 것으로 기능한다.
[학술논문] 남북한 사회복지 용어 비교: 소득과 복지를 중심으로
...포괄과 분화로 구분되었다. 아울러 남북한 상호간의 용어의 부재가 제도의 부재로, 제도의 부재가 용어의 부재와 연계되는 경우도 일부 있었다. 그러나 더욱 분명한 것은 남북한의 근로와 복지용어의 경우 차이점 보다는 공통점이, 상호 부재 보다는 상호 공통 존재가 상대적으로 다수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원인은 근로와 복지가 갖고 있는 체제를 초월하는 분석대상의 본질적인 기능과 내재적 속성에 기인한다. 즉, 어떠한 체제이든지 근로와 복지가 부재한 경우는 매우 미미하고 해당 체제는 나름대로 근로와 복지를 개념화한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용어로서의 존재나 정의, 개념화의 수준이 아니라 그들이 표방한 용어의 제도로써의 실체적 존재이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상호비교를 통해 특정 일방에서 일정한 괴리가 있거나 부재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