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고전문학 교육 내용 연구-교과서 수록 작품의 선정 배경과 맥락을 중심으로
...교수요강, 교과서, 문학사 연구물, 사회주의 교육학 등의 자료를 통해 북한 고전문학 교육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것을 이 연구의 과제로 한다. 북한의 경우 문학이 사상 교양의 수단과 도구 차원에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문학의 강조와는 달리 고전문학은 북한 체제가 요구하는 사회주의 인간형 양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못할 뿐 아니라, 당성, 노동계급성, 인민성 등의 요건도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점에서 경시되고 있다. 교과서 수록 작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품과 장르에 사회주의 역사인식이 직접적으로 투사되어 작품 해석은 물론 평가와 교과서 수록 여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과서 수록 작품을 대상으로 사회주의 역사 인식의 반영, 노동계급성과 인민성의 강조, 애국주의, 사회적 모순의 폭로와 비판의식...
[학술논문] 북한문학사와 향가
...방법과 역사주의에 기초하여 문학사를 서술했음을 밝혔고, 후2자들은 그와 함께 주체미학적 관점을 강조했다. 향가가 ‘인민대중의 집단적 노동요’ 즉 ‘두레노래’에서 나왔다는 관점은 북한의 모든 문학사들에 공통된다.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필수요건인 ‘인민성ㆍ당성ㆍ노동계급성’ 가운데 인민성과 노동계급성을 강조할 필요 때문이었을 것이다. 노동계급으로서의 인민대중 속에서 불리던 생활가요들이 상당기간 후에 고안된 향찰 書寫法으로 기록되면서 구체적인 시 형식으로 나타난 장르가 향가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 書寫의 과정은 형식적 整齊를 이루어 나가던 加工의 과정이었다. 그리고 노래 즉 ‘읊던 시가’에서 시문학 즉 ‘쓰는 시가’로의...
[학술논문] 북한 민속춤의 시기별 변화와 특징-1945년 이후를 중심으로-
...및 정리를 하였다. 1950~60년대는 혁명적 공산주의 수립 시기로, 북한의 민속춤은 노동, 세태생활 및 풍습, 전투를 소재로 한 사회주의를 강조하였다. 이때, 무대화로 인한 인원, 음악을 축소하고, 춤내용과 춤사위가 변화했다. 1970~80년대는 주체사상의 기틀을 마련한 시기이다. 민속적 요소로 무용소품을 창작하는데, 민요, 소품 활용 등을 통한 노동계급성, 인민성을 고취하였다. 1990년대는 김정일의 사회주의 주체이론을 확립하는 시기이다. 극 형식으로 민속무용조곡을 창작하는데, 민족적 형식을 사회주의 내용과 결합하여 강조하였다. 2000년대부터는 전통을 기반으로 한 민속춤의 현대화를 이룩하며, 김정은의 전통성 재추구로 인해 새로운 구성의 민속춤을 창작한다.
결론: 앞으로 남북...
[학술논문] 북한 사회과학원 주체문학연구소가 간행한 『재미나는 옛이야기』(전3권)의 개작 양상 연구
...사회과학원은 조선작가동맹의 옛이야기집에 비해 지주 이야기를 중시하였다. 1986년판에 수록된 이야기 중 지주와 양반(부자) 및 지배층 실패담까지를 합하면 반봉건투쟁 설화는 총 32편으로 약 41.5%를 차지한다. 이처럼 1986년판은 이전의 설화집을 참고하여, 대중적 교양서로 쉽게 개작하여 우화를 비롯한 교훈적‧계몽적인 이야기를 다수 수록하는 한편, 인민성과 노동계급성을 강화시켜, 계급적‧주체적 인민의 이야기로 형상화시켰다. 1986년판에는 소화(笑話)를 다수 수록하는 한편, 노동과 협력을 강조하였다. 이는 1980년대 북한이 인민들에게 요구했던 사회주의 교양이기도 하였다. 협력은 부부 및 가족의 화합을 포함해 마을, 공동체, 국가로 확대된다. 주인공들은 시련을 극복하고 얻은 재물을 공동체를 위해 기꺼이 환원하는 이야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