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원일의 『노을』에 나타난 ‘죽은’ 아버지의 귀환과 이중 서사 전략
노을은 김원일이 불가해한 남성 주체가 등장하는 초기단편에서 벗어나 문학적 전환의 계기를 마련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었다. 본고는 이 작품이 표층적으로는 당대 사회의 반공 이념에 부합하는 서사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이데올로기 비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읽어내려고 한다. 작가는 70년대 사회에서 월북한 아버지를 불러내기 위해 소년 갑수와 중년 갑수의 시점을 이용한다. 그래서 겉으로는 아버지와의 개인적 화해를 지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심층적으로는 아버지를 역사적 맥락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이 작품은 반공 이념에 충실한 소시민 중년 갑수와 신뢰할 수 없는 화자인 소년 갑수를 의도적으로 교차 서술하여 아버지를 순진한 사회주의자로 이미지화하고 연민의 대상으로 재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은 함구했던 아버지를...
[학술논문] 계승담론과 직업세습: <표창>과 <북방의 노을>을 통해 본 김정은 시기 두 공장 이야기
...<북방의 노을>(2017, 10부작) 두 편을 선정하였다. 당국이 표방하는 ‘계승담론’의 실제를 파악하기 위해 작품 속 인물들의 전형성, 관계성, 행위, 대사 등을 분석하였고, 정책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각 작품의 원작 소설인 <딸의 고민>(1992) 및 <북방의 노을>(2010)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두 드라마는 계승담론을 기층 노동자 계층과 기술직 인텔리로 각각 이원화시켜 표상하고 있었다. 실적 위주 소영웅주의에 대한 비판이 담긴 소설은 공장의 신세대 노동청년을 향한 직업세습 메시지가 담긴 드라마 <표창>으로 재탄생하였다. 반면, 자력갱생과 기술 혁신을 달성한 3월5일청년광산의 실제 사례를 모델로 만들어진 <북방의 노을>은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