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이후 《동학사》의 비판적 수용과 농민전쟁연구
...외피론’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우선 동학 지도층과 조직에 대한 서술은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기본적인 구도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연구에서도 동학과 농민전쟁의 결합성을 강조하고 1890년대 동학사상과 조직의 거대화와 아울러 농민반란의 이념과 조직으로 전화되었음을 강조하였다. 반면 북한학계에서는 초기에 이청원과 같이 농민들의 사회경제적 개혁 지향과 ‘동학’이라는 종교적 외피를 강조하였으나 이후 오길보는 양자의 관련성을 철저히 부정하였다. 한국학계에서도 농민전쟁의 주도층과 참여층에서 동학이 아닌 농민층을 주목하였으며, 동학의 종교 이념과는 다른 ‘보국안민’ 이념으로 해석하려는 농민전쟁 서술이 구체화되었다. 또한 《동학사》에 수록된 농민군의 폐정개혁안 12개 조항에...
[학술논문] 북한 역사서의 근현대음악사 인식 연구
이 글은 1950년대부터 2000년대에 걸쳐 북한에서 출판된 음악사 저술을 검토함으로써 북한음악사 서술의 변화 양상, 특히 근대와 현대의 시기구분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1956년의 『해방후 조선음악』에서는 1945년 8.15 이후를 북한 현대음악사의 시점으로 인식하였으며, 인민이 만들어낸 사회주의적 음악에 주목하였다. 1966년에 출판된 『조선음악사』에서는 전근대와 근대 음악사의 기점을 명시하였다. 즉, 19세기 말의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 즈음으로 상정하고 있는 점에 눈에 띈다. 또한 현대 북한음악의 기원을 일제강점기 카프(KAPF)의 음악활동에서 찾고 있었다. 1979년에 출판된 『해방후 조선음악』은 여전히 현대 음악사 서술의 시작을 8.15 해방 이후로 상정하고 있으며, 음악사 곳곳에 주체사상(主體思想)과
[학술논문] 『갑오농민전쟁』의 구성분석 - 모더니즘적 기법을 중심으로
박태원(1910-1986)은 1926년 『조선문단』에 시를 발표하며 문단에 등장한 이래 1986년 78세를 일기로 사망하기까지 중.단편, 장편, 시, 번역 등 영역을 가리지 않고 왕성한 창작활동을 한 작가이다. 『갑오농민전쟁』 2부가 출간된 1980년 이후 구술능력조차 상실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의 창작기간은 54년에 달한다. 박태원은 활동 기간, 남. 북한이라는 이질적 공간을 아우르는 작품의 성격 등, 우리문학사에서 보기 드문작가 중 한사람이다. 특히 “문체, 형식 같은 것에 있어서만도 가히 조선문학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할 것”이라는 자부심에 찬 모더니스트였던 박태원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소설 『갑오농민전쟁』은 모더니즘에서 리얼리즘으로 나아간 박태원의 작가로서의 경로와 함께
[학술논문] 최근 북한의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연구 현황Recent Situation of Study about DongHak Peasants War in North Korea
2007년 이후 지난 10여 년 간 북한의 동학농민전쟁 인식과 이해가 그 이전과 비교 해 볼 때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이를테면 최근 북한 역사학계는 동학농민전쟁을 두고 “갑오농민전쟁”이라는 기존의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인식 또한 “반봉건 반침략투쟁”이라는 관점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그리고 구체적인 서술에서도 지금의 북한 지역을 포함하는 황해도 지역의 농민전쟁에 대한 서술이 없어 기존 삼남 지역에만 국한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93년의 교조신원운동과 1894년 동학농민전쟁을 각각 1893년 동학농민운동, 1894년 갑오농민전쟁으로 구분하여 동학농민전쟁의 외연을 넓혔다.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에 수록되어 있는 『외무성기록』을 활용하는...
[학술논문] 북한 역사교과서의 9세기 농민항쟁 서술과 중세사 이해
...한국사 최초의 농민전쟁으로 평가하며 그 역사적 의의를 더욱 중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북한의 역사교과서 서술과 연구사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북한 역사교과서에서는 9세기 농민항쟁을 중세 봉건사회에서 전개된 계급투쟁으로 규정하고, 그 원인을 귀족 중심의 중앙집권 국가가 가진 구조적 모순에서 찾고 있다. 이와 같은 이해의 기초는 1930년대 백남운의 중세사 연구에서 마련되었다. 그의 고대사⋅중세사 이해는 1950년대까지 북한 역사학계의 통설이었다. 그런데 연구의 심화와 더불어 중세사 이해가 변모하며 역사교과서 서술도 다소 변화하였다. 본격적인 연구는 1960년대 전반에 축적되었는데, 이를 전후해 발간된 역사교과서부터 그 성과가 반영되었다. 그리고 주체사상이 확립되며 1970년대 후반 이후 농민전쟁이란 용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