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 초기 전쟁 소식 전파와 대응의 커뮤니케이션
...한국전쟁 발발에서 북한 인민군의 서울점령 기간을 거쳐 국군과 유엔군의 서울수복까지 100여 일간 피난 가지 않았거나 가지 못했던 서울 주민들이 전쟁소식을 어떤 채널로 듣고, 어떻게 대응했는지, 그리고 전쟁 소식은 어떤 방식으로 전파되었는지 살펴보고, 그러한 뉴스접촉과 전파 및 대응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쟁발발 소식은 뉴스가치가 매우 크고 현저성이 높아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 기간 서울주민들이 접했던 가장 중요한 소식 접촉 수단은 단파라디오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었다. 단파라디오를 소유한 사람들이 적었지만, 라디오로 들은 전쟁 소식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유형으로 친지와 이웃에게 전파되고, 그 친지와 이웃이 또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며 확산된 것이다. 전쟁소식에 대한 사람들의 대응양상에서...
[학술논문] 미디어의 외국인 강력범죄에 대한 보도태도 연구
...그리고 주관적 보도태도인지의 여부 및 매체별 그 차이가 있는지, 나아가 한국인 강력범죄에 대한 보도태도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내용분석방법을 통하여 살펴보는 데 두었다. 분석대상 뉴스기사는 외국인범죄로는 박춘풍 사건을 그리고 한국인 범죄로는 김상훈 인질사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 미디어 매체는 신문은 보수적인 성향의 조선일보, 중앙일보를, 그리고 진보적인 성향의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등 4종류로 제한하였다.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등의 TV뉴스를, 그리고 케이블 종편채널은 JTBC, TV조선을, 그리고 케이블 뉴스전문채널인 MBN, YTN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미디어의 외국인 강력범죄에 대한 보도태도는 미디어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고, 외국인 또는 한국인 강력범죄의 보도태도는 모두...
[학위논문] 중조 국경도시 단동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그들의 삶의 양상은 북한과 중국의 국가 관계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때로는 단동과 신의주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축되어왔다. 그리고 1990년대 초반부터 한국 정부와 한국사람도 양 국경 도시의 맞물림에 동참을 하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이래, 중·조 국경에 대한 한국 사회의 선입견은 국경이라는 경계를 접촉보다는 분리의 선으로, 통로보다는 장벽의 역할로 파악한다. 단동발 뉴스의 내용 그 자체가 국경 만들기의 역할을 한다. 현재의 상상되는 경제적 장벽의 국경이 과거에도 투영되고 있지만 단동은 신의주와의 경제적 맞물림 속에서 존재하고 있다.
“중국의 최대 변경 도시(국경 도시)”와 “중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변경 도시(국경 도시)”의 두 문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