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과 일본에 사는 시인 김시종 - 장편시집 『니이가타』에 표현된 ‘재일’의 의미
이 논문은 재일코리언 김시종의 장편시집 『니이가타』의 표현을 고찰해 식민 이후와분단의 시대를 살아가는 ‘재일’의 의미를 생각해본 것이다. 『니이가타』는 1959년에니이가타 항에서 재일코리언이 북한으로 귀국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제주 4·3사건 이후정부 당국에 쫓겨 1949년에 일본으로 건너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재일의 삶을 살고있는 김시종의 ‘재일’에 대한 적극적인 의미 표명을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잘 보여주고있는 시집이다. 김시종은 스스로를 재일 2세로 정위하고 일본사회 속에서 현실적이고 주체적으로살아가는 길을 모색해왔다. 그는 남북 분단의 현장이며 38도 선의 연장선상에 있는니이가타에서 조국에서는 넘을 수 없었던 분단을 넘는 상상을 한다. 이는 재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