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다문화(이주민) 통합 교육 방향
...가지지만, 오랫동안 이질화된 환경에서 이들에게도 다른 이주민들처럼 한국어, 한국문화 이해, 글로벌 다문화 시민교육 등의 교육도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문화 통합 교육은 크게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 접근의 절충의 입장에서, 첫째, 동화주의 관점에서는 공동체적 연대성 교육과, 둘째, 다문화주의 관점에서는 글로벌 다문화 시민성 교육 두 가지를 다루었다. 이를 본고에서는 구절판 접근에서의 다문화 통합 교육으로 보았는데, 공동체적 연대성 교육은 한국 및 아시아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우리’ 정체성을 기르게 하는 교육이다. 글로벌 다문화 시민성 교육은 민주주의와 자유 등에 대한 교육, 다종교 교육을 통한 문화 간 이해 교육 그리고 통일 시민적 덕성 함양 교육이다.
[학술논문] 다문화 사회 진입에 따른 한국 교회 대응 방안 연구
...선교적 차원에서 뿐 아니라, 사회통합의 측면에서 매우 절실한 분야이다. 이는 그리스도의 사랑, 평등에 기초한 공동체 형성의 디아코니아적 실천이다. 한국교회는 다문화 복지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정작 현실적인 대안 없이 뒷짐을 지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은 한국교회의 선교적 차원에서 한국에 들어온 이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이다. 한국교회는 내국인을 포함한 이주자를 선교의 현장으로 인식하고 이들에게 선교적으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성경적 차원에서의 다문화 사역의 필요성과 교회 현황, 그리고 선교적, 교육적, 목회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다문화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혈구지도(絜矩之道)를 통한 다문화사회 소통⋅융합의 예(禮)실천방법 연구
...북한이탈주민의 남한거주자 현황은 28400여명에 이르는 등, 다양한 외국인 증가추세의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더불어서 국내유입의 이주민들과 내국인들과의 문화, 교육, 경제 등에서 발생하는 갈등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복합적인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핵심에는 기존의 전통적 사회구성원들과 이주민 구성원들과의 소통과 융합의 문제가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해결책의 하나로서 다문화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행동양식의 준거가 될 수 있는 예실천 방법에서 찾고자 한다. 이에 유가 전통의 왕도실천법인 『대학』 ‘혈구지도’를 통해, 21c 현대 한국 다문화사회의 시의(時宜)에 맞으면서 소통⋅융합하는 예 실천 방법론으로써 접근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다문화 인권교육의 정립과 실천과제
세계화로 인해 다문화사회는 우리만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다문화사회의 변화근거는 인구구성의 변화 추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다문화사회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인권침해 문제도 증가하여 다문화인권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그동안 국가인권위원회를 중심으로 이주민에 대한 인권교육이 이루어져 왔지만 여전히 이주외국인에 대한 혐오와 차별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주민에 대한 인권교육의 시행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성과 있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이를 정립하고 점검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다문화인권교육의 실천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인권교육의 기본적 기초원리에 대한 교육을 통한 인간의 존엄성, 평등, 자유, 정의, 평화의 기초가 되는 교육적 철학에 바탕을...
[학위논문] 탈북 청소년 커밍아웃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연구 : “나는 북한에서 왔습니다”
...탈북 청소년의 커밍아웃은 탈북 청소년의 이주와 정착 체험을 새롭게 이해하게 하는 문제임을 제시하였다. 커밍아웃은 가시성이 높은 낙인 정체성을 가진 다른 이주민보다 ‘비가시적 낙인 정체성’을 가진 탈북 청소년이 더 고민하는 문제이며; 이러한 결과는 탈북 청소년의 이주와 정착 문제에 개입할 때 다른 이주배경 청소년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탈북 청소년 정책은 통일 후 사회통합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해야 하는 특별한 주제다. 이에 따라 탈북 청소년 정책 개발에 있어서 동화주의에 입각한 현행 정책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다문화 담론에 대해 재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며; 실천 현장에서도 탈북 청소년의 상황과 욕구; 강점에 초점을 맞춘 개입이 요구된다.
둘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