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시대의 한국어 통일과 국어교육의 과제 - ‘한국어사회’와 ‘한국어 공동체’의 개념 수립을 기반으로 -
...사용하는 이들을 ‘한국어 서클’로 모으고, 더 나아가 한국어를 사용하거나 배우는 모든 이들을 ‘한국어 다양체’로 보며, 이들 집단을 ‘한국어 공동체’로 규정한 결과다. 여기에는 북한동포 및 연변의 조선족과 러시아 까레이스키 등으로 대표되는 ‘한국어족’ 및 타국의 한국어 사용자와 학습자도 포함된다. 이런 ‘한국어 공동체’는 한류의 문화적 전파에 따라 높아진 한국의 위상과 이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에도 필요한 개념이다. 이는 ‘한국어 다양체’를 서로 연결하고 접속하는 ‘리좀(rhyzom)’적 인식의 마련과 포괄적 종합으로 통일시대를 대비하는...
[학술논문] 통일시대의 한반도 지역어와 한국어 다양체의 교육적 시사점
...& 가타리(Guattari)가 제시한 ‘다양체(multiplicity)’로 존재하는 양상이다. 이런 관점에서 한반도 아홉 지역어는 상호 차이를 지닌 ‘언어 다양체’이며 땅속뿌리인 리좀(rhyzom)으로 존재하면서 ‘종합’의 가능성을 지닌 ‘한국어 다양체’이기도 하다. 한국어 다양체는 상호 간의 교류로 연결 접속할 때 ‘한국어 공동체’로의 통합과 종합을 이룰 수 있으며, 들뢰즈(Deleuze, G.) 철학이 지향하는 ‘생성’의 가능성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반도 통일시대의 언어교육은 ‘한국어 다양체’의 언어능력 계발을 지향하며, 서로의 언어 차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