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미술의 유의미한 담론 구성을 위한 제언- 웃음 코드를 중심으로 -
...정서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 만큼 고도로 훈련된 묘사력을 갖추어 현대 미술의 어느 장르에도 속하지 않는 독창성을 만들어 내었다. 이 글은 조선화의 제한된 형식적 한계를 극복하며 독자적 양상을 모색하는 가운데 주체미학의 최적화된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 웃음에 담긴 코드에 주목하고자 한다. 웃음으로 매개된 세 가지 코드, 즉 1)위선과 기만에 대한 탈-권위적‧ 비판적 웃음, 2)환상성이 공존하는 웃음, 3)감성 정치 속의 웃음을 검토한다. 북한 미술에서 웃음에 내포된 의미, 체제선전 전략으로서 예술의 기능 분석이 이어진다. 이는 동시대의 미술에서 다뤄지고 있는 웃음에 대한 담론 및 표현방식들과 교차 분석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논문은 북한 미술에 대한 균형 잡힌 평가를 위한 담론의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위선과 무례함 그리고 사악함의 변주곡: 북한 관련 '가짜뉴스'를 통해서 본 한국 언론의 민낯
한국 사회에서 북한은 독특한 존재다. 민족공동체의 반쪽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전쟁 중인 적대국이라는 정체성이 혼합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뉴스는 국내언론의 단골메뉴 중 하나며,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일상에서 접하는 북한뉴스는 문제가 많다. 대부분 부정적이며, 진실이 아닌 경우가 많고, 공정성과 균형성과 같은 언론 규범이 적용되지 않는다. 명백한 오보로 밝혀진 때에도 제대로 된 정정 보도가 없다. 연구진은 이런 배경에서 신냉전이 다시 한반도에 뿌리를 내리고, 북한의 안보위협은 높아지고, 남북 간 갈등이 증폭되는 상황과 북한뉴스(특히 오보)의 관련성에 주목했다. 분석 대상을 주요 일간지에 등장한 북한과 관련한 오보 666건으로 설정한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분석 시기는 1993년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