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통일논문집』을 통해 본 한국 대학생의 통일담론
...대학생 통일담론은 ʻ체계통합ʼ과 ʻ사회통합ʼ이라는 담론분야와 시기변화 측면에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체계통합 분야에 해당하는 정치·군사·경제 등 시스템 차원의 담론은 정책 결정권을 가진 정부의 통일담론과 높은 유사성을 나타냈다. 반면 사회통합 분야는 대학생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통일의식 및 교육, 대학문화를 다뤘기 때문에 비교적 자율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시민사회, 학계 등 다양한 담론 구성체로부터의 영향으로 인해 논의가 심화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탈냉전과 민주화 시기를 기점으로 대학생 통일담론의 질적 전환이 이루어졌다. 북한당국과 주민을 분리하여 사고하면서 북한에 대한 적대적 인식이 약화되었고, 정부의 통일논의 독점에 대한 비판적 개입을 시도했다. 대학생의 통일담론은 과거의...
[학술논문] 해방 전후 북한체제에서의 강소천 아동문학 연구
.... 그러나 그의 문학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직후 평화적민주건설시기와는 차이가 있다. 그것은 문학의 주체를 구성하는 담론구성체의 차이인데 전자의 담론구성체는 민족담론을 서정적으로 편집한 것이고, 후자의 그것은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담론을 복제한 것이다. 이렇듯 그는 타자의 담론을 서정적으로 편집하거나 혹은 복제하여 주체를 스스로 검열함으로써 그의 독창적인 문학적 주체를 구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학술논문] 남북한 민족주의 역사 비교연구: 민족형성의 정치를 중심으로
...민족주의는 이데올로기, 정체성 또는 담론구성체로 파악할 수 있다. 먼저 다양한 민족주의 패러다임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사회학 뿐 아니라 역사학과 국제정치학, 국제관계학에서 진행된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를 종합했다. 둘째, ‘역사적 타자’, ‘사회적 타자’, ‘국제적 타자’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정리했다. 셋째, 남한 민족주의의 역사적 흐름을 지배담론으로서의 ‘국가 민족주의’ 대 저항담론으로서의 ‘저항 민족주의’의 대립에서 통치담론으로서의 ‘시민 민족주의’로 초점이 이동한 것으로 파악했다. 넷째, 북한 민족주의의 역사적 흐름을 통치담론으로서의 ‘사회주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