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논문 : 역사인식 속에서의 냉전 - 북한 역사학계의 러시아사 이해
...역사학자들은 주로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북한 역사학이 마르크스주의-레닌주의에 토대를 두고 성립되었다가 주체사관으로 전환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가 보기에, 북한 역사학의 토대가 마르크스주의-레닌주의라기보다는 정확히 말해 스탈린주의 역사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이 점은 북한 역사학이 표방하고 있는 ‘당성의 원칙’과 ‘역사주의의 원칙’에서 명확히 드러나 있다. 역사의 동력이라는 측면에서 전자는 주관적인 요인을 가리키는 것이고 후자는 객관적인 요인을 지칭하는 것이지만, 스탈린 시대에 스탈린이 역사해석의 권한을 독점했듯이 이 두 요소를 결합시킬 수 있는 권한은 주체사관의 핵심인 수령에게 있다. 따라서 북한 역사학은 스탈린주의 역사학에 그 근본을 두고 있고...
[학술논문] 북한 형사소송법상 증거법의 내용과 특징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고,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함에 있어서도 진술자의 계급적 처지와 정치적 환경, 의식수준과 당성(黨性)의 정도 등이 중요한 판단의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범행부인진술이 거짓으로 판명될 경우 범죄증명을 의제하는 원칙(제37조 제3항)도 국가의 입증책임을 면책시키고 피의자에게 사실상 진술을 강요하는 장치로서 법치국가 형사소송법에서는 수용되기 어려운 제도이다. 또한 법치국가 형사소송의 기본원칙인 ‘무죄추정의 원칙’ 및 ‘의심스러운 때에는 피고인의 이익에 돌린다는 in dubio pro reo! 원칙’, 전문증거의 증거사용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전문법칙 등이 자본주의 부르죠아 형사소송에서의 기만과 위선책에 불과하다는 이유로 배척되고 있다. 나아가...
[학술논문] 예술의 특수성과 당(黨)문학 원칙 1950년대 북한문학을 다시 읽다
...3편 중-산딸기」 등 리얼리즘 서정시와전재경 「나비」, 신동철 「들」 등 리얼리즘 세태소설이 발표되었다. 당(黨)문학 원칙과 예술의 특수성의 길항관계를 잘 보여준 이들 작품의 평가와 리얼리즘 미학 논쟁을 통해 북한문학은 한층 성숙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1958년 말 김일성 교시를 계기로 역풍을 맞게 된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풍부화’로 평가될만한 작품들은 ‘자연주의, 수정주의, 이색사상’ 등 부르주아미학사상의 잔재로 비판받아 정전에서 배제되고 우경화된 사회주의 리얼리스트들은 문단에서 사라진다. 그러나 예술적 완성도가 높은 리얼리즘문학이 당성 원칙이라는 문학외적 강제로 배제되었다고 재평가할 수 있다. 이에 한반도의 리얼리즘 민족문학사의 재구성을 위해서 남북한 문학사․작품집․교과서...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전형이 강조되어 주체형의 공산주의자의 전형이 요구된다. 또한 이전의 당성 · 인민성 · 계급성 중심이 수령 · 당 · 대중의 통일체 중심으로 변모된다. 또한 문학 예술의 민족적 형식이 강조되어 자기 민족의 미감과 요구에 맞고 자기 민족이 좋아하는 형상수단과 방법으로써의 형상 기교도 강조된다. 1970년대 이후부터 주체주의 사실주의의 사상 이론적 기초가 마련되는데 항일혁명투쟁 시기를 강조하고 북한이 주장하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인 <불멸의 역사>와 <불멸의 향도> 총서 등이 등장하기에 이른다. 이 시기에는 사회 정치적 생명체가 문학의 형상 원칙이 될 것을 강조하고 어버이로서의 수령 창조를 주요 문학의 과제로 삼았다...
[학위논문] 김정일 시대의 핵심엘리트 연구 : 충원과 인적구성을 중심으로
...
여섯째, 당성이나 이데올로기성, 그리고 전문성보다는 김정일 개인에 대한 충실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김일성 시대부터 핵심엘리트 충원의 기준이었던 당성, 이데올로기성, 전문성은 김정일 시대에서도 중요한 기준이기는 했지만 이 기준들보다는 김정일에 대한 충성심을 나타내는 충실성은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특히 이 기준은 1994년 김일성 사망과 고난의 행군이라는 어려운 과정을 겪으면서 더욱 굳어졌다. 김정일은 배신하지 않고 끝까지 자신을 위해 복무하는 정신을 가진 핵심엘리트를 선호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경향으로 볼 때, 향후 김정일 시대 핵심엘리트의 충원이나 인적구성은 김정일에 대한 충실성을 기본 요소로 하면서 당성이나 이데올로기성보다는 전문성을 갖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