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러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조건과 과제
한반도 및 동북아를 둘러싼 지역적 수준뿐만 아니라 세계적 차원에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한·러 간 상호협력이 제공해주는 공유이익이 다양해지고 확대되어감에 따라, 서울과 모스크바는 지난 2008년 9월 양국관계를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키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7년이 지난 현재 양국 간 지정학적 협력의 밀도나 지경학적 상호작용 수준을 두고 볼 때, 한 · 러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는 아직까지 외교적 수사(修辭)차원에 머물러 있다는 게 정확한 진단일 것이다. 2010년 5월 발생한 천안함 피격사건과 동년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사건에 대해 전략적 관계인 한 · 러 양국이 ‘전략적’ 입장 차이를 드러낸 것이 적절한 사례가
[학위논문] 統一段階別 國家權力構造의 體系에 관한 硏究
...도래할지 모르고 그 방향성도 점진적 합의통일 접근법과 급진적 흡수통일의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여기서는 통일준비단계; 과도기적 통일형성단계; 통일실현 및 완성단계라고 하는 단계별 접근법에 따른 국가권력구조의 체계를 모색해 보았다. 그와 같은 시간대별 접근은 단절적인 의미로 이해되기 보다는 상호 연계되어 기능한다. 통일은 우리 헌법이 요구하는 민족사적 당위적 가치이므로 그 어떤 이유로도 포기할 수 없는 것이며; 비록 단기적으로는 전망이 어두워 보일지라도 그럴수록 평화통일을 위한 남북한의 지속적인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본 연구를 통해 통일의 단계별 방법에 따른 통일헌법과 국가조직체제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연구를 통하여 북한의 급변사태의 발생에 따라 조기통일이 이룩되건 남북연합단계를...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 변화과정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이주 전 분리경험’과 ‘북한에서 당위적인 부부관계’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은 ‘가부장적인 북한문화’와 ‘매체 속 남한의 부부문화’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참여자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불안정한 남한의 삶에 직면하기’, ‘관계균형을 위해 인식 전환하기’, ‘안정적 정착을 위해 수용하기’, ‘적응 갈등의 대안 모색하기’, ‘정착을 위한 동지애 나누기’, ‘우리됨(we-ness)의 의미 찾기’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자녀와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