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구지역 북한이탈주민의 효과적 지역정착 지원체계: 굿 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최근 지구촌은 전문화, 다원화되고 복잡해지는 정책 환경을 맞이하고 있다. 변화된 정책 환경에서는 국가 중심의 정책결정 과정으로는 더 이상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힘들게 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의 정착도 초기에 비해 많은 정책 환경의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주관 부처는 물론이고 정책집행의 내용과 방향도 상당히 변화를 가지고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대에는 미흡한 게 현실이다.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이 ‘고비용 저효율’로 비판받고 있다. 본 논문은 대구지역 북한이탈주민의 효율적인 정착지원체계를 제시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실효적 굿거버넌스의 구축에 초점을 두었다. 지역차원에서 지방정부 중심의 거버넌스 체계로는 변화된 환경에 적응해 나갈 수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대구지역정착 관련한
[학술논문] 차나무 자생개체군의 식물사회와 분포 특이성
...입지에서 생태학적으로 정의된 야생상의 자생 차나무 개체군에 대한 식생자료가 수집되었다. 우점 상관에 따라 식분을 구분하고,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따라 현지 식생조사와 종조성에 따라 식물군락을 기재하였다. 식생 유형에 따라 생활형, 신귀화식물, 식생지리분포, 고유성 등을 포함하는 생태식물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생개체군 분포지의 최고해발은 대구시 팔공산(해발 390 m) 이었고 최고위도는 익산시 함라산(latitude 36°03′ 33″)이었다. 대륙성 기후가 우세한 한반도에서의 차나무 자생개체군은해양성 기후가 우세한 일본에 비하여 수평적·수직적으로 모두낮은 분포를 보였다. 대부분의 자생개체군은 인간 간섭을 받아온 입지에 위치하였고, 자생개체군의 북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