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기억의 정치와 푸에블로호 호명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북한의 푸에블로호 호명은 단순히 반미교육의 차원을 넘어서 김정일 체제의 위기 타개 및 정당화와 관련되어 있었다. 1990년대 김정일 체제의 등장시기 직면했던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와 북한 내부의 식량난 등 위기상황 속에서 위기 타개와 정당화의 수단으로 푸에블로호를 소재로 한 반미교육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당시 푸에블로호 교육은 김정일의 선군정치와 일원화되면서 대미승리인식을 더욱 공고화하는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푸에블로호를 활용한 북한의 기억의 정치의 일면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북한이 푸에블로호를 표면적으로는 반미교육의 소재로 활용하였지만, 그 내면에는 김정일 체제유지라는 국내정치의 현실적 필요성에 의해 과거의 기억이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