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북제재에 대한 이란사례의 함의
이란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북제재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은 향후 대북제재를 재설계하고 추진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란 핵 프로그램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추이 및 내용, 그리고 제재효과를 검토하고, 이란과 북한이 직면한 제제환경 차이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란사례가 대북제재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제재효과가 발생되는 이론적 경로를 국가안보와 경제복지 간의 PPF형태 교환곡선, 그리고 사회무차별곡선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란사례가 대북제재에 주는 함의를 보다 체계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북제재가 이란사례와 같이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 것은 제재효과가 발생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PPF형태의 교환곡선의 위축, 이동이
[학술논문] 국제 핵 비확산 체제의 맹점 및 개선방안 - 이란 및 북한의 경험을 중심으로
북한 핵문제를 둘러싸고 숨 막히는 외교전이 펼쳐지는 가운데, 미국이 이란 핵협정(JCPOA) 탈퇴와 대 이란 제재 복원을 발표함으로써, 북한과 이란의 핵문제가 다시 국제적 관심사로 부각하고 있다. NPT탈퇴를 선언한 후 6차에 걸친 핵실험을 감행한 북한과 NPT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권리를 주장하며 우라늄 농축을 시도한 이란은 각기 다른 측면에서 국제 핵 비확산 체제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다. 국제 핵 비확산 체제란 핵무기의 이전 및 획득 금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핵보유국의 핵군축이라는 3개 축을 기본으로 하는 NPT 및 NPT와 관련된 보다 광범위한 규칙, 원칙 및 규범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02년 8월 이란 반정부단체가 이란의 비밀 핵시설 건설을 폭로하면서 부터 시작된 이란 핵문제는 2015년...